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백신 맞은 고령층 재감염률 가장 낮아

<앵커>

지금까지 국내에서 코로나 걸린 사람이 1,500만 명에 가까워지면서 혹시 또 걸리지나 않을까 걱정하는 분들 많은데, 그럴 확률, 매우 낮습니다. 특히 백신 맞은 고령층들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첫 소식, 조동찬 의학전문기자입니다.

<기자>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된 뒤 또 오미크론에 걸릴 확률은 얼마나 될까요?

덴마크가 오미크론 대유행 때 확진자 180만 명을 두 달간 추적했습니다.

1,739명이 또 감염됐는데 89%는 백신 미접종자였습니다.
 
나이별로 보면, 10대가 23%로 가장 많았고, 대부분 30세 미만이었습니다. 

연구팀은 오미크론은 델타보다 고령층의 재감염이 극히 드물다고 밝혔습니다.

고령층이 활동력이 낮고 백신 접종률은 높기도 하지만, 젊은 층에 비해 심하게 앓아서 면역력이 더 세졌다는 게 더 큰 이유로 추정됩니다.

[이근화/한양의대 미생물학과 교수 : 어린이나 청소년은 백신 접종률이 성인보다는 낮고, 활동량이 많아 (재감염이 높고) 항체 및 세포 반응이 성인보다는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증세는 가볍습니다.)]

다만, 65세 이상은 재감염 시 중증 위험성은 더 컸습니다. 

젊은 층은 첫 감염보다 재감염 때 중증 위험도가 90% 낮았지만, 65세 이상은 48% 낮아지는 데 그쳤습니다. 
 
그렇다면 감염 예방 효과는 얼마나 지속할까요?

백신을 맞은 뒤 감염된, 하이브리드 면역을 기준으로 보겠습니다.
 
스웨덴 연구에서는 길게는 20개월, 영국과 일본 연구에서는 적어도 1년으로 나타났습니다.

관찰을 더 오래 하면 더 길어질 수도 있어서 '적어도'라고 표현한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올 들어 지난달 16일까지 700만 명 확진자 중에 오미크론 재감염 추정 사례는 129명입니다.

덴마크와 영국에 비해서 100배 넘게 낮습니다. 

국내 재감염 사례가 누락될 가능성도 있겠지만, 일단은 우리나라의 높은 백신 접종률이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