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갱도 복구에 속도 내는 북…"한두 달 내 핵실험 가능"

<앵커>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인 ICBM을 발사한데 이어 핵실험도 할 수 있다는 정황이 나오고 있습니다. 4년 전에 폭파한 핵실험장 복구에 속도를 내고 있는 걸로 파악되고 있는데, 한 두 달이면 핵실험이 가능하다는 게 우리 정부의 판단입니다.

김아영 기자입니다.

<기자>

2018년 5월, 북한의 핵실험장 폭파 당시 모습입니다.

이미 못 쓰게 된 걸로 알려진 1번 갱도를 제외하고, 북쪽 2번 갱도와 남쪽 3번 갱도, 서쪽 4번 갱도를 무너뜨렸지만, 완전 폐기는 아니었습니다.

[박한기/당시 합참의장 (2019년 10월 국정감사) : 3번 갱도, 4번 갱도는 상황에 따라서 다시 보수해서 쓸 수도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북한이 이 가운데, 3번 갱도 입구에서 복구 작업을 하다 최근엔 아예 그쪽으로 연결 통로를 새로 뚫고 있는 정황이 한미 군 당국에 포착됐습니다.

2차부터 6차 핵실험이 단행된 2번 갱도와 달리, 3, 4번 갱도에선 아직까지 핵실험이 실시된 적이 없습니다.

3번 갱도는 내부에서 다시 두 갈래로 갈라지는 구조인데, 4번에 비해 내부가 더 견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미 군 당국은 북한의 복구 작업이 속도를 냄에 따라, 7차 핵실험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정부 소식통은 SBS에 두 달 안팎이면 핵실험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고, 또 다른 정부 고위 관계자는 예상보다 속도가 빨라져 한 달 정도면 복구가 가능할 거라고 내다봤습니다.

추가 핵실험은 단거리 및 중거리 미사일에 탑재할 전술 핵탄두 개발, 이미 공언한 초대형 핵탄두 개발을 위한 다목적 포석일 거란 관측입니다.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을 쐈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유엔 안보리 규탄 성명 나오지 못한 상황은 핵도발을 더욱 가속화할 요인이 될 전망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