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안보 공백', '성급한 이전' 난타전…군이 밝힌 입장은?

<앵커>

어제(22일) 국회에서는 국방장관이 출석한 가운데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를 놓고 여야의 치열한 공방이 이어졌습니다. 군은 당선인 측의 이전 계획이 너무 급하다는 점에는 동의하면서도 청와대가 우려하고 있는 안보 공백과 관련해서는 작전 대비 태세에 문제가 없다고 답했습니다.

강민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청와대와 인수위 측의 충돌 이후 긴급 소집된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 포문은 민주당이 열었습니다.

집무실 이전계획 발표 엿새 전에야 인수위가 국방부에 이전 계획 수립을 요청했다며 졸속 이전이라고 공격했습니다.

[홍영표/민주당 의원 : 군사작전 하듯이 이렇게 졸속으로 이전하는 건 여기에 큰 문제가 있고 이거는 안보 공백을 반드시 초래할 수밖에 없다.]

국민의힘은 이전 과정의 행정적 어려움일 뿐 안보 공백은 없다며 새 정부 발목잡기에 불과하다고 맞받았습니다.

[신원식/국민의힘 의원 : (벙커에) 유사시에는 바로 가서 몇 시간 만에 임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놓는 거예요, 국방부는. 국방부, 합참 그 다음에 옮기게 되는 전시지휘소….]

군은 안보 공백의 한 사례로 거론되는 합참의 대비태세는 이전 여부와 무관하게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정환/합참 차장 : 현행 작전 대비태세 측면에서는 제한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정보 작전 요원·지휘통제 시스템은 그대로, 현행대로 운영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군은 또 이와 상반되는 논란인 인수위 측의 이전 계획이 너무 성급하다는 점에도 공감했습니다.

[서욱/국방장관 : (국민이) 너무 좀 빠른 시간 내에 검토 없이 배치 조정되는 것에 대한 우려가 많으신 것 같습니다.]

군은 추가 쟁점이 된 합참 청사 이전 비용과 관련해서도 1,200억 원이라는 인수위 추산보다는 많이 들 것이라고 답했고 용산 대통령 집무실 주변에 추가 방공포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인수위 주장에도 재배치돼야 한다며 반대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