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계약 때 정점 3만 확진 예상" 결국 팍스로비드 동났다

<앵커>

먹는 코로나 치료제인 팍스로비드 재고가 바닥을 드러내고 있는 가운데 며칠 전에는 70명분이 분실될 뻔한 일도 있었습니다.

팍스로비드가 왜 이렇게 부족한 건지 박재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기도의 한 약국에 팍스로비드 70명분이 배송된다던 날은 지난 16일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날 약은 오지 않았습니다.

약은 엉뚱하게도 140km 정도 떨어진 충북 청주에 가 있었습니다.

배송업체는 약국의 항의를 받은 뒤에야 청주 집하장에서 70명분이 든 상자를 찾아 어제(22일) 약을 배달했습니다.

사라진 약을 찾는데 엿새가 걸린 겁니다.

관리 부실보다 더 심각한 건 재고량이 빠르게 줄고 있단 겁니다.

[정은경/질병관리청장 (어제) : 재고분이 7만 6,000명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 추세로는 2주 정도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처방량이 늘고 있어서….]

정부가 선계약한 먹는 치료제 도입량은 100만 4천 명분입니다.

정부 관계자는 SBS와의 통화에서 "지난해 말 계약 당시 유행 정점을 하루 3만 명 정도로 봤다"며, "오미크론의 급속한 확산은 예측하기 어려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 내에선 당시 예측치의 10배 이상 확진자가 나오는 만큼 먹는 치료제 도입량을 대폭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팍스로비드 생산물량과 국가 간 확보 경쟁을 생각할 때 추가 물량을, 그것도 이른 시일 내 들여오긴 쉽지 않습니다.

국내 사용 승인도 안 난 상태에서 또 다른 먹는 치료제 '라게브리오'의 도입을 서두른 이유입니다.

라게브리오는 국내 배송 준비를 마친 상태로 오는 25일 전에 초도물량이 들어올 예정입니다.

식약처는 이르면 오늘 라게브리오 승인 여부를 발표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