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시작부터 계속되는 갈등…초유의 '신구 권력 충돌'

<앵커>

5월 10일 취임전까지 용산으로 대통령 집무실을 이전하겠다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계획에 청와대가 제동을 걸면서 신구 권력이 또 한번 충돌하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이미 이명박 전 대통령 사면, 인사권을 놓고도 충돌하며 아직 회동조차 못하고 있는데, 대선 이후부터 계속된 갈등의 흐름을 화강윤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대선 기간 적폐 수사 발언과 여성가족부 존폐로 신경전을 주고받았던 문재인 대통령과 윤석열 당선인, 대선 다음 날 전화 통화에서는 덕담을 주고받았습니다.

문 대통령은 축하를 전하며 통합을 당부했고, 윤 당선인도 "많이 가르쳐달라"며 몸을 낮췄습니다.

하지만 지난 16일 예고된 첫 회동부터 엉켰습니다.

[김은혜/당선인 대변인 (지난 16일) : (회동은) 실무적 협의가 마무리되지 않아서 일정을 다시 잡기로 했습니다.]

문 대통령의 남은 임기 동안 공공기관 등에 대한 인사권 문제를 어떻게 할지가 핵심 발화점으로 꼽힙니다.

협의를 요구한 국민의힘은 "낙하산이 없을 거라던 말은 허언"이라며, 무리한 요구라는 민주당은 "점령군처럼 협박한다"며 맞받았습니다.

[김기현/국민의힘 원내대표 : 낡은 문재인 정부의 철학에 따라 인물을 임명하겠다는 발상은 국민들의 뜻을 정면으로 거역하는 오만한 행동입니다.]

[박수현/청와대 국민소통수석 (MBC라디오) : 대통령의 인사권에 해당하는 문제입니다. 그래서 그것에 대해서 왈가왈부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에 현 정부의 협조가 필요한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문제가 기름을 끼얹었습니다.

갈등을 풀 수 있는 유일한 고리는 문 대통령과 윤 당선인 간의 회동일 텐데, 이를 위한 실무 협의조차 진전이 없으면서 민주화 이후 역대 가장 늦은 대통령-당선인 회동이 되게 됐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