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70년째 이어져온 '현수막 선거'…언제까지 이렇게 처리?

<앵커>

선거철이 끝나면 홍보 현수막이 산더미처럼 쌓이는데, 이번 대선도 예외는 아닙니다. 수거된 현수막은 대부분 소각 처리되는데, 이 과정에서 유독물질 등이 배출돼 환경 오염을 일으키는 만큼 선거철 현수막 관행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유덕기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선거 현수막이 임시 보관 창고에 수북이 쌓여 있습니다.

주민 민원을 받고 관할 지자체가 수거한 것들로, 원래는 설치는 물론 철거와 폐기까지 각 정당에서 책임져야 합니다.

[김기수 주무관/서울 강북구청 건축과 : (철거 요청) 민원이 구청 쪽으로 많이 들어와서 저희가 또 직접 준비(철거)하고 있습니다.]

선거법상 허용된 현수막은 전국적으로 대략 10만 장, 정당 후보별로 행정동당 2장씩 걸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실제 배출된 현수막은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자치구 현수막 담당자 : 사전투표 독려 현수막 (걸고). 끝나고 나면 본투표 독려 현수막을 또 게시하더라고요.]

문제는 선거 현수막이 '탄소 중립' 시대에 걸맞지 않다는 점입니다.

적극적인 지자체들이 나서 장바구니 등으로 재활용하고는 있지만, 그 비율은 20%대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소각 처리되는데, 현수막 1장당 6.28kg의 온실가스가 배출됩니다.

정당과 후보를 알릴 마땅한 홍보 수단이 없던 시절과 달리, 지금은 방송과 통신 등 다양한 미디어 매체로 얼마든 효율적인 홍보가 가능합니다.

[홍수열/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 : (사실상) 선거 때만 쓰고 버리는 일회용 쓰레기인 거죠. 나풀거리는 것이 이제는 오히려 우리의 시야를 어지럽히는….]

지방선거를 목전에 둔 지금, 70년 넘게 이어온 선거 현수막 사용 관행을 친환경, 디지털 시대의 코드에 맞게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