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동거 가족 내 확진 · 연쇄 감염, 이렇게 대처하세요

<앵커>

확진자가 급증하며 이제 누적 확진이 680만 명을 넘었지만, 실제로 확진 판정을 받게 되면 당황하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특히 같이 사는 가족이 확진됐을 때, 격리는 하지 않아도 되지만 연쇄 감염은 걱정해야 하지요.

조동찬 의학전문기자가 대처법을 알려드립니다.

<기자>

확진자의 동거 가족 지침은 계속 바뀌었습니다.

보건소 전화나 문자 통보도 없어졌습니다.

[초등생 자녀 확진 : 어떻게 격리를 해야 될지, 어느 정도 저희 가족이랑 같이 격리를 하고 있어야 될지, 막상 확진되니까 하나도 모르겠더라고요.]

격리 기준은 나라마다 다른데요, 미국은 확진자와 가족 5일간 격리하고요, 영국은 확진자와 가족 모두 '무 격리'입니다.

우리나라는 환자만 검사일로부터 일주일간 격리이고요, 동거 가족은 백신을 맞았든 안 맞았든 격리 안 해도 되고, 3일 이내에 PCR 검사를 받을 순 있는데 의무가 아니라 권고사항입니다.

4인 가족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초등생 둘째가 확진됐어요.

그 다음 날 엄마, 아빠, 누나가 PCR 검사를 받는데 이틀 뒤 누나만 양성 됐습니다.

검사일로부터 일주일간 격리 기간이니까 누나는 동생보다 하루 더 합니다.

그런데 여기에는 빈틈이 있습니다.

PCR 검사 결과에 보통 이틀 걸리니까 검사 결과 나오기 전까지 엄마, 아빠, 누나 일터로 가고 학교 갈 수 있으니까요.

방역 당국 관계자는 역학 조사할 수 없고, 신속항원검사 키트도 넉넉하지 않은 현실을 고려한 고육지책이라고 합니다.

이 빈틈을 메우려면 엄마, 아빠, 누나가 바로 그 다음날 병원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습니다.

문제는 첫날엔 누나도 음성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적어도 이틀은 해야 안전합니다.

어린이 확진자 급증에 국내에서도 5~11세 접종이 시작되는데, 나라마다 방침이 다릅니다.

미국, 캐나다, 덴마크 등은 5~11세 백신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입증됐다며 접종을 권장했는데 미국은 1차 접종률 33%, 940만 명이 맞았습니다.

영국과 스웨덴은 기저질환이 있는 고위험군만 권장했고 접종 간격도 석 달로 했는데, 이미 대유행이 지나서 효과보다 안전성 위주로 간 겁니다.

현재까지는 어린이 접종을 권장하는 나라가 더 많고, 미국에서 2명 사망 사례가 있으며 백신과의 관련성은 조사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박진훈, CG : 박소연·박천웅)

▶ 31일부터 5~11세도 백신 접종…12~17세 3차 접종 시작
▶ 병원 신속항원검사 '북새통'…"이번 주 확진자 정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