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집중관리군 · 비대면 진료비 놓고 당일에도 '오락가락'

<앵커>

어제(10일)부터 고위험군 중심의 새 재택치료 관리 체계가 시작됐습니다. 그런데 고위험군 분류 기준과 비대면 진찰료 납부 기준이 오락가락하면서 여전히 혼선이 이어졌습니다.

박재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50대 후반 A 씨는 천식과 고혈압에 고지혈증까지 가진 기저질환자입니다.

이달 초 확진 뒤 몸 상태가 나빠졌는데, 매일 전화로 통화해온 재택치료 관리 병원이 신속히 조치를 취했습니다.

[재택치료자 A 씨 아내 : (혈압을) 쟀더니 168 이렇게 나오는 거예요. (관리 병원에서) 고혈압약을 더 먹으라고 하더라고요. 두 배로.]

방역 당국은 그제 A 씨 같은 50대 기저질환자들을 건강 모니터링이 필요 없는 일반관리군으로 분류했습니다.

[최종균/중앙사고수습본부 재택치료 반장 (그제) : 고혈압약이나 당뇨약을 먹고 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분들은 굳이 저희가 집중관리군으로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판단을 (했습니다.)]

현장 의료진의 판단은 달랐습니다.

이런 환자들 상당수가 갑자기 악화하는 경우가 많아 '방치해선 안 된다'고 지적한 것입니다.

정부는 그젯밤 새 재택치료 체계 시행을 1시간 앞두고 다시 50대 기저질환자를 집중관리군에 포함했습니다.

최종 확정된 집중관리군은 만 60세 이상 고령층과 먹는 치료제 처방 대상인 만 50세 이상의 기저질환자, 그리고 만 12세 이상의 면역저하자입니다.

혼선은 제도 시행 당일인 어제도 이어졌습니다.

정부는 재택치료자가 비대면 진료 시 첫 진료는 무료, 이후에는 진찰료를 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진찰료는 모두 무료라며 환자들은 돈을 낼 필요가 없다고 수정했습니다.

다만 병원이 정부에 청구하는 진료비 횟수는 하루 한 번만 인정된다고 밝혔는데 이 때문에 병원이 같은 환자에게 하루 두 번 이상 진료 상담해주긴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