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오미크론 대비 방역 체계 개편…"고위험군부터 PCR 검사"

<앵커>

전염성이 높은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면서 정부가 2년 넘게 유지해 온 국내 코로나 방역 체계를 크게 손질하기로 했습니다. 선별진료소 과부하를 막기 위해, 증상이 없거나 가벼우면 PCR 검사 대신 자가진단 키트로 감염 여부를 확인하게 한다는 계획입니다. 

정다은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서초구의 선별진료소.

밀접 접촉자부터 무증상자까지, 스스로 혹은 직장이나 병원의 요구로 PCR 검사를 받습니다.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할 경우 검사 대상자가 폭증하면서 선별진료소가 마비될 수 있습니다.

방역 당국은 이에 대비해 앞으로는 PCR 검사 우선 대상자를 따로 분류하기로 했습니다.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 60세 이상의 고령자, 기저질환자와 미접종자 등입니다.

무증상이거나 경증이면, PCR 검사 전 집에서 스스로 자가진단 키트를 써서 양성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방침입니다.

[이기일/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 : 환자가 많이 나오게 되면 모든 것을 PCR 방법으로 하기는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자가검사 키트에서) 양성이 나오게 되면 다시 한번 PCR 검사를 하는 방법으로 할 계획입니다.]

요양병원이나 학교 등 주기적으로 검사가 필요한 곳에도 자가진단 키트가 보급됩니다.

광주광역시는 오는 10일부터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에 자가진단 키트를 배포하기로 했습니다.

K 방역의 3대 정책이었던 진단검사-역학조사-확진자 치료 가운데 첫 단계부터 변화가 생기는 것입니다.

역학 조사 방식도 개선됩니다.

[김부겸/국무총리 : 모든 감염원을 뒤쫓기보다는 확산 위험이 큰 곳에 정부 역량을 집중하고, 시민참여형 역학조사 도입도 검토하겠습니다.]

그제(6일) 하루 위중증 환자는 839명으로 이틀 연속 800명대를 기록했습니다.

정부는 치료 단계에서도 위중증 환자 중심으로 체제를 전환할 방침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