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화이자 '먹는 치료제' 다음 주 도입…투약 기준 마련 중

<앵커>

오미크론 변이가 퍼지면 무증상 또는 경증 환자가 크게 늘 수 있습니다. 이들을 치료하는 데는 재택치료와 함께 먹는 치료제가 핵심인데요, 정부가 계약한 100만 명분 가운데 화이자에서 만든 알약이 다음 주 처음 들어옵니다.

김덕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가 계약한 먹는 코로나 치료제 물량은 100만 4천 명분, 이 가운데 화이자의 팍스로비드가 76만 2천여 명분, 전체의 76%를 차지합니다.

이 팍스로비드가 다음 주 13일쯤, 국내에 들어온다고 정부가 밝혔습니다.

2만 명분 정도 먼저 들어올 것으로 알려졌는데, 정부는 도입 날짜와 물량을 최종 협의하고 있습니다.

투약 대상은 경증 환자로 고령층 미접종자부터 쓰일 것으로 보이는데, 우선순위와 배송체계를 마무리 짓고 있습니다.

팍스로비드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세포 증식을 막는 분홍색 알약 2개와 이를 돕는 흰색 알약 1개, 모두 3알이 1회분입니다.

증상이 생긴 지 닷새 내 먹어야 효과가 큰데, 닷새간 하루 두 번 12시간마다 복용해야 합니다.

정부는 먹는 치료제를 재택치료 단계부터 적극처방한다는 계획입니다.

[정재훈/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 팍스로비드가 잘 사용되면 전체 입원자와 중증 환자 수를 절반 정도 이상 감소시킬 수 있을 걸로 기대가 됩니다.]

정부는 중증 환자에게 쓰였던 주사 치료제인 렘데시비르는 폐렴이 있는 중등증 환자로 활용 폭을 넓혔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의 항체 치료제 이부실드에 대해서는 효능을 살펴보는 단계로 아직 도입 계획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부실드는 미국 식품의약국이 코로나 예방 효과를 승인했는데, 부작용 탓에 백신을 맞지 못하는 사람에게 백신 대용으로 쓰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