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공수처 "통신조회 유감" 첫 사과…논란은 계속

<앵커>

휴대전화 가입자의 개인정보, 이른바 통신자료를 무차별 조회해서 논란을 빚은 공수처가 처음으로 유감의 뜻을 내놨습니다. 그동안의 수사 활동을 점검해 보겠다고 했는데, 여전히 근본적인 해법은 보이질 않습니다.

김관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기자와 기자의 가족, 정치인까지 대상을 가리지 않고 통신 자료를 조회해 비판을 받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처음 사과했습니다.

"과거의 수사 관행을 성찰 없이 답습했다"며 "통신자료 조회 논란으로 여론의 질타를 받게 돼 유감"이라고 밝혔습니다.

대책으론 "외부인사와 함께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그러면서도 "사건 관계인의 통화 상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일반인의 통신자료 확인이 불가피"했다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습니다.

적법한 수사 활동이란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 건데, 이성윤 지검장 황제 조사 보도를 한 종편 기자와 관련해 내사를 진행하면서 누구랑 통화했는지, 통화 내역 조회까지 한 부분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공수처에 비판적인 의견을 내놨던 형사소송법학회 소속 교수 10여 명의 통신자료도 공수처로 넘어간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정웅석/서경대 교수 (한국형사소송법학회장) : 학계를 턴다는 생각하는 것 자체가 이건 진짜 큰 위험한 발상이죠. 형사 관련 학계 전체의 이름으로 성명서라든가 어떤 논의를 하고있는 중입니다.]

소속 의원 21명의 통신자료 조회 사실을 확인한 국민의힘은 대변인 논평을 통해 김진욱 공수처장의 사퇴를 촉구했습니다.

통신자료를 조회당한 개별 당사자들에게 어떤 사건, 누구와 통화한 일 때문인지 투명한 설명이 필요하지만, 공수처는 수사 중인 사안을 공개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반복했습니다.

(영상취재 : 양두원, 영상편집 : 전민규)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