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금 제 뒤의 영상은 컨테이너를 가득 실은 배들이 항구에서 짐을 내릴 사람들이 부족하다는 이유 등으로 정박하지 못하고 바다 위에서 기다리고 있는 모습입니다. 최근 이렇게 전 세계적으로 물류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서 처음에는 원자재와 부품 공급에 문제가 생겼는데 이 여파가 이제는 소비재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전연남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한 패스트푸드점, 감자튀김 재고가 부족해 너깃이나 치즈스틱으로 바뀔 수 있단 안내문이 붙었습니다. 
  
 
  
 [품절되는 경우가 있거든요. (공급이) 일정치 않은 거라서.] 
  
 
  
 다른 패스트푸드점 상황도 비슷합니다. 
  
 
  
 [패스트푸드점 관계자 : 대체품을 찾아서라도 지금 현재는 수급을 하고 있거든요.] 
  
 
  
 미국산 냉동감자튀김 물량이 들어오지 않아서입니다. 
  
 
  
 한 수입 브랜드 인기 운동화 제품은 품절로 구할 수 없습니다. 
  
 
  
 [따로 입고 예정일은 없어요. (계속 기다려야 해요?) 네.] 
  
 
  
 코로나19 이후 경제 재개로 물동량은 급증했는데 운반선은 물론 항만 노동자까지 부족해 물류난이 심각해지면서 소비재 수급까지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중국 광군제,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등 초대형 소비 시즌을 앞두고 미리 물건을 확보하려는 유통업체 수요까지 겹치면서 물류 병목현상은 더 심화하고 있습니다. 
  
 
  
 [강경우/한양대 교통물류학과 교수 : 전 세계 공급망에 취약한 지역들이 나타나는데 우리나라가 대표적인 사례가 될 수가 있죠. 연말에 수요가 많은 걸로 몰리기 시작해서 (소비재) 품귀 현상이 되면 (가격이) 올라갈 수밖에 없잖아요.] 
  
 
  
 이즈음 미국, 유럽 연말 쇼핑시즌에 판매할 제품을 보내야 하는 우리 가전사들도 큰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
								
동영상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