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뮤 변이' 국내 첫 확인…백신 회피 가능성에 우려

<앵커>

전파력이나 치명률이 높을 걸로 예상되는 코로나 관심 변이 뮤가 국내에서 처음 확인됐습니다. 델타보다 전파력이 낮은 건 다행이지만 백신을 회피할 능력이 큰 게 걱정입니다.

뮤 변이의 지금까지 분석 결과와 전망을 조동찬 의학전문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내에서 첫 뮤 변이가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장희창/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장 : 국내에서는 해외 유입 사례에서 3건이 확인되었으며, 국내 지역발생 건수는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뮤 변이 감염자 3명은 멕시코, 미국, 콜롬비아에서 각각 지난 5월에서 7월 사이에 입국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는 전 세계 뮤 변이 점유율이 0.1%에 불과하지만, 39개국에서 퍼져 있고 특히 발원 국 콜롬비아에선 점유율이 39%라고 밝혔습니다.

콜롬비아 연구팀의 뮤 변이 분석 논문입니다.

주황색의 뮤 변이가 여러 도시에서 두세 달 만에 급증했습니다.

이 논문을 토대로 국내 바이러스 전문가 분석 결과, 뮤는 3차 유행을 주도했던 알파와 남아공 변이로 알려진 베타가 섞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파력이 알파 수준으로 추정되는데, 델타보다는 낮기 때문에 델타 우세 지역인 우리나라에서는 우세종이 되긴 어려울 걸로 조심스럽게 전망했습니다.

그러나 백신을 회피하는 능력이 가장 큰 베타 변이의 특성이 있다는 건 걱정스러운 점입니다.

[홍기종/대한백신학회 편집위원장 : 알파·베타·델타·감마 네 가지 변이 중에서는 베타 변이가 백신에 대한 저항성이 제일, 조금 더 높은 편이었거든요. 이런 특징이 나타나지 않을까라는 걱정은 할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벨기에 한 요양원에서 뮤 변이 사망자 7명 모두 백신 접종 완료자였습니다.

뮤 변이가 적은 사람을 감염시켜도 치명률이 높을 수 있어서 방역 당국의 면밀한 관찰과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