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가습기 살균제 참사 10년…피해자-기업 조정 첫발

<앵커>

정부의 역학조사로 가습기 살균제 참사가 확인된 지 어제(31일)로 10년이 됐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3천500여 명의 피해 보상은 해결이 안 된 상태입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해자들과 해당 기업들이 조정위원회를 만들기로 합의했습니다.

장세만 환경전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가습기 살균제 10주기를 맞아, 피해자 유족들이 세상을 떠난 가족의 유품을 공개하며 관련 기업에 대한 항의 집회에 나섰습니다.

김태종 씨 아내는 가습기 살균제 사용 이후 폐병을 앓다 지난해 숨졌지만, 또 다른 기저질환이 있었다는 이유로 배상을 받지 못했습니다.

[김태종/가습기살균제 피해 유족 : (오히려 폐에)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들이 독극물이 들어가면 더 치명적인 상처를 입게 되는 건데, 그것을 기저질환 때문에 그렇다는 핑계 하에 배상에서 빼버린 거죠.]

10년째 꽉 막힌 가습기 살균제 문제를 풀기 위해 피해자 단체 13곳과 옥시와 SK케미칼 등 기업 6곳이 민간 조정위원회를 만드는데 합의했습니다.

조정위원장은, 환경부가 추천한 김이수 전 헌법재판관이 맡습니다.

지난 2018년 삼성 반도체 백혈병 갈등의 합의를 이끈 조정위 사례가 모델이 됐습니다.

조정위원회의 우선 과제는 정부가 인정한 공식 피해자 가운데 아직 해결이 안 된 3천500여 명의 피해 보상 문젭니다.

양측 모두 10년을 끌어온 갈등을 풀어야 할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습니다.

조정위가 사적 조정에 따라 운영되는 만큼, 법적 책임으로부터 거리가 있다는 측면에서 기업 측 부담도 덜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