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조그맣게 사과문 띄운 샤넬…"탈퇴하면 AS 불이익"

<앵커>

고가명품 브랜드 샤넬이 최근 가격을 수차례나 올리면서 연 1조 원에 달하는 매출을 국내에서 올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일어난 고객 개인정보 유출 사건을 처리하는 모습을 보면 고객 보호와 관리는 명성에 걸맞지 않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지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외부 해킹으로 샤넬코리아 화장품 멤버십 고객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건 지난 5일입니다.

이름, 전화번호, 생일, 구매 내역, 이메일 등입니다.

그런데 이에 대한 사과문은 이틀이 지난 7일에서야 올렸습니다.

샤넬코리아 홈페이지 위쪽 귀퉁이에 작고 흐린 글씨로 '개인정보유출 관련 공지사항'을 띄웠습니다.

클릭을 해야만 볼 수 있는데, 대부분의 사과문 게시가 자동으로 볼 수 있는 '팝업' 형태인 것과 대조적입니다.

개인정보를 삭제하려면 AS 받을 때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는 적반하장식 설명을 내놓습니다.

[샤넬 고객센터 : (그거(개인정보) 삭제할 수 있나요, 혹시?) 탈퇴는 가능하신데…. 이전에 가입·구매하셨던 이력도 모두 삭제가 되는 상태에요. AS 받으시거나 하실 때 문제가 되실 수 있어서….]

샤넬코리아는 지난해 코로나 상황에서도 전년 대비 26% 증가한 9천296억 원의 매출을 올렸는데, 고객관리는 뒷전인 겁니다.

[이은희/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 : 명품 업체의 그런 인지도나 위상에 걸맞게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안됐기 때문에) 브랜드 이미지를 우리가 의심할 수밖에 없습니다.]

앞서 부산의 한 백화점에서 샤넬 매장 발 집단감염이 확산했을 때도 개점 전부터 대기하는 '오픈런'을 방치해 감염 위험을 높였고, 성급히 매장 운영을 재개해 비난을 샀습니다.

[해당 백화점 관계자 : 샤넬이 '슈퍼갑'이기 때문에 저희가 열라, 마라 뭐 이렇게 할 수 있는 구조도 사실은 전혀 아닙니다. 진짜로 저희 말 안 들어요.]

연이은 고객관리 실패로 가격만 '명품'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어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