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과학화 철책' 10km 먹통…아차 하면 '경계 실패'

<앵커>

이른바 '헤엄 귀순' 사건 이후 최전방 경계망을 다시 철저하게 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그런데 저희 취재 결과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전방 과학화 철책 가운데 10km 정도는 감시 장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태훈 국방전문기자입니다.

<기자>

2016년 10월, 모든 최전방 철책에 구축된 과학화 경계 시스템의 핵심은 광망 즉 광케이블 철책망과 감시 카메라의 조합입니다.

광망에 일정 수준 이상 힘이 가해지면 감시 카메라가 이를 찍어 상황실로 영상을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지난해 8월 폭우와 태풍으로 전방 과학화 경계 철책 약 17km가 유실됐습니다.

육군은 국정감사에서 모든 구간을 연말까지 복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취재 결과 현재 연천 5사단 4.5km, 화천의 7사단과 15사단 2km, 최근 헤엄 귀순자가 발견된 고성 22사단 수백 미터 등 모두 10km 구간의 과학화 철책이 여전히 복구가 안 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장병이 한 눈 팔면 언제든 경계 실패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입니다.

육군은 지난해 9월 말부터 예산을 배정받아 복구 절차를 진행 중인데, 코로나19 상황과 혹한기가 겹쳐 공사에 차질을 빚었다고 해명했습니다.

관련 업체들의 설명은 다릅니다.

['과학화 철책' 업체 관계자 : 천재지변이 난 거고, 다른 데도 아니고 철책이 뚫린 거잖아요. 어디서든 예산을 따내서 빨리 할 수 있는 업체한테 줘야 하는데, 지금 하는 거 보면 어떤 업체는 손으로 광망을 짜고 있고 가관입니다, 가관.]

육군은 SBS 취재가 시작되자 5월 말까지 대부분 구간을 복구하고, 유실이 심한 5사단은 7월까지 공사를 끝내겠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