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화이자 · 모더나 백신, 1분기 국내 접종 어렵다"

<앵커>

코로나19와의 이번 전쟁에서 마지막 무기는 결국 백신이 될 텐데요, 어제(20일) 정세균 국무총리가 조금 더 구체적인 접종 계획을 밝혔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빠르면 내년 2월부터 접종할 수 있지만 나머지 백신은 1분기 안에 접종이 어려울 거라고 밝혔습니다.

보도에 이성훈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여당은 그동안 우리 국민이, 언제 어떤 백신을 맞을 수 있을지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습니다.

[이낙연/민주당 대표 : 백신 접종을 최대한 앞당기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백신 접종은 3월 이전에 시작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어제 구체적인 답변을 내놨습니다.

먼저 이르면 내년 2월부터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식약처 사용 승인이 내년 초 가능할 것"이라며 "1천만 명분의 백신이 순차적으로 반입될 예정"이라고 공개했습니다.

다만, 해외 사용이 시작된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1분기 국내 접종이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해당 업체들과 계약이 임박했으나 1분기 안에 공급을 약속받은 건 없다고 밝혔습니다.

다른 나라에 비해 백신 확보가 뒤처졌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백신 태스크포스'를 가동한 지난 7월엔 국내 확진자 수가 100명 수준이어서, 백신에 대한 의존도를 높일 생각을 하지 않은 측면이 있었다"고 답했습니다.

정부의 판단이 결과적으론 일부 빗나갔음을 인정한 거라는 해석도 나왔는데 '부작용에 대한 면책' 같은 다국적 제약사의 무리한 요구 등도 계약을 서두르기 어려운 이유였다고 정 총리는 설명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