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불편함의 대명사' 공인인증서 폐지…연말정산 편해진다

<앵커>

20년 넘게 독점적으로 사용돼온 공인인증서 제도가 이제 폐지되고 간편하고 다양한 여러 인증서를 쓸 수 있게 됩니다. 국세청 연말정산에서도 새로운 민간 인증서들을 쓸 수 있는데요.

궁금한 점들, 김기태 기자가 설명해 드립니다.

<기자>

복잡한 비밀번호에, 수시로 보안 프로그램을 깔아야 하고, 매년 갱신해야 하는 데다 또 보관도 어려워서 공인인증서는 불편함의 대명사처럼 여겨졌습니다.

[조정민/서울 양천구 : 비밀번호를 잊었을 때 재설정해야 하고. 페이지를 재접속해야 하는 경우도 많고…하던 일을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해서 (불편했다.)]

이른바 '천송이 코트' 논란 이후, 2014년부터 민간 영역에서는 공인인증서 사용 의무화를 이미 폐지했지만, 국세청 홈택스나 각종 공문서 발급을 위한 정부 24 등에서는 여전히 활용돼왔습니다.

당장 폐지되더라도, 기존에 쓰던 공인인증서는 유효 기간까지 사용할 수 있고, 유효 기간이 끝나더라도 '공동인증서'라는 이름으로 기존 방식과 동일하게 갱신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내년 초 연말정산에서 민간인증서를 쓸 수 있게 할 방침입니다.

민간인증서에는 10자리 이상 복잡한 비밀번호 대신 간편 핀 번호 또는 홍채와 지문 같은 생체 인식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에 활용할 수 있는 민간업체 후보 5곳은 카카오, KB국민은행, NHN페이코, 패스, 한국정보인증 등인데 정부는 이달 말 시범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입니다.

문제는 보안입니다.

[고재연/금융결제원 인증업무부장 : (인증서는) 저희가 철저히 관리하기 때문에 절대 탈취될 염려가 없고, 설령 탈취된다 하더라도 2중, 3중 암호화 되어 있기 때문에 (금융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은 없습니다.)]

이미 민간 전자서명 서비스 가입 건수가 공인 건수를 초과해 간편 인증방식이 널리 자리 잡고 있는 상황에서 공인인증서의 독점 시대가 막을 내리면서 전자서명 시장의 기술개발과 서비스 경쟁도 촉진될 전망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