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북미관계 · 한미동맹…美 대선 후보별 득실은?

<앵커>

트럼프와 바이든, 미 대선의 승자가 누가 되느냐에 따라 한미 동맹과 북미 관계뿐만 아니라 남북관계까지 영향이 미칠 걸로 보입니다.

한반도 정세에는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김아영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북한 최고지도자와 악수하고, 비핵화 협상에 나선 첫 미국 대통령,

[트럼프/미국 대통령 : 우린 다른 종류의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우린 좋은 관계예요. 전쟁도 없죠.]

하노이 회담 결렬로 이후 협상이 좌초됐지만 정상 간 담판을 통해 활로를 찾는 이른바 톱-다운 방식에는 여전히 열려있습니다.

재선에 성공한다면 특유의 사업가적 기질의 연장선에서 성과를 내려 할 거란 관측이 나옵니다.

반면 바이든은 트럼프식 협상엔 분명한 선을 긋고 있습니다.

[바이든/미국 민주당 후보 : 그(트럼프)가 무엇을 했습니까? 그는 북한에 정당성을 부여했고 폭력배, 폭력배인 단짝(김정은)과 얘기했습니다.]

'파격'보다는 실무협상에서 시작해 정상회담으로 가는 과거 협상 방식으로 회귀할 걸로 보입니다.

[신범철/한국국가전략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 : 바이든 행정부 내에서 북한 문제의 우선 순위를 끌어올리기 위해서 ICBM(대륙간탄도미사일)이나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발사와 같은 전략 도발을 할 것인지 여러 변수가 내재돼 있는 거죠.]

한미 동맹 문제만 놓고 보면 바이든이 덜 까다로울 거라는 평가입니다.

노골적으로 방위비 올리라고 압박하고, 주한미군 철수 카드도 흔드는 트럼프와는 차별화를 내세우기 때문입니다.

[우정엽/세종연구소 미국연구센터장 : (바이든이 당선되면) 단기적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비판 차원에서 (방위비 협상) 문제를 좀 부드럽게 넘어갈 수 있겠지만, 장기적인 차원에서는 방위비 분담 구조를 바꾸려는 노력을 (할 가능성이 여전히 있습니다.)]

여기에 어느 쪽이 승자가 되더라도 미중 간 패권 경쟁은 첨예해질 수밖에 없는 상황, 우리 정부의 외교력이 계속해서 시험대에 오르는 것은 불가피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