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쓰지도 않은 국제전화 요금 폭탄, 알고 보니…

<앵커>

인쇄와 복사, 팩스까지 가능한 복합기가 인터넷에 연결돼 있는 경우 해킹 공격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쓰지도 않은 국제전화 요금 폭탄을 맞은 사례도 나왔습니다.

박하정 기자입니다.

<기자>

경기도 수원에서 서점을 운영하는 선국규 씨는 지난 7월 전화요금 고지서에서 국제전화 요금이 150만 원이나 부과된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7일간 오스트리아로 621번, 콩고에 14번, 우간다에 1번 국제전화를 걸었다는 겁니다.

통신사에 자신은 외국으로 팩스를 보낸 적 없다고 항의하자, 통신사는 실제 팩스 발신 흔적이 있다며 해킹으로 추정했습니다.

[선국규/복합기 해킹 피해자 : 랜선을 통해서 복합기를 해킹해서 그랬을 가능성이 있다(고 통신사가 그러더라고요.)]

선 씨와 비슷한 사례가 더 접수되자 해당 통신사는 지난달 팩스 이용자 2만 1천여 명에게 해킹 위험을 경고하고 나섰습니다.

인터넷진흥원은 복합기 제조사의 보안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해주기도 했지만 완벽한 보안을 장담할 수 없는 실정입니다.

[조정식/민주당 의원 (국회 과방위) : 비정상적인 국제전화 과다 통화가 있을 때 통신사업자가 자동차단과 같은 선제적 조치들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인터넷에 직접 연결하지 말고 공유기를 쓰는 등 조치를 하면 보안 벽이 하나 더 생겨 피해 방지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