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민주당, 뒤늦게 "피해자"…통합당 정원석 활동 정지

<앵커>

'피해자'가 아닌 '피해 호소인'이라는 말을 써서 거센 논란을 불러일으켰던 민주당이 결국 '피해자'라는 용어를 쓰기로 했습니다. 이번 사건에 '스캔들'이라는 부적절한 표현을 쓴 통합당 비상대책위원은 활동 정지 징계를 받았습니다. 

박하정 기자입니다.

<기자>

[이해찬/더불어민주당 대표 (지난 15일) : '피해 호소인'께서 겪으시는 고통에….]

민주당이 써온 이 '피해 호소인'이라는 표현에 대해 당 지도부 회의에서 공개적으로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김해영/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 (피해자 측이) 고소 사실의 일부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습니다. 지금부터는 '피해 호소인'이 아닌 '피해자'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됩니다.]

비공개 회의에선 피해 호소인이라는 말에 국민들 거부감이 크다는 보고가 있었고, 결국 민주당은 '피해자'라는 표현을 쓰기로 입장을 바꿨습니다.

'아직은 주장일 뿐 피해 사실이 입증되지 않았다'로 읽힐 수 있는 피해 호소인이란 말을 뒤늦게 거둬들인 겁니다.

통합당도 서둘러 수습에 나섰습니다.

[정원석/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 (그제) : 박원순 성추행, 서울시 ○○스캔들 은폐 의혹입니다.]

'스캔들'이란 말은 2차 가해라는 비판이 쏟아지자 정원석 비대위원에게 활동 정지 2개월 징계를 내렸습니다.

[김종인/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 : 생각 없이 그런 얘기를 했기 때문에 사전 경고하는 의미에서 그런 조치를 취한 거예요.]

피해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보다 상처를 헤집는 언행이 이어지는 정치권의 현실, 피해자 중심주의를 지켜가겠다 하지만, 여전히 말뿐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