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특사 파견' 거부한 김여정…'김정은 대행' 승격 주목

<앵커>

북한이 요즘 벌이는 일을 보면 김정은 위원장이 잘 보이지 않고, 여동생인 김여정 부부장이 남북 관계를 파국으로 몰아가는 선봉장 역할을 하고 있죠. 2년 전 평창동계올림픽 때만 해도 평화의 메신저 역할을 했었는데, 지금은 180도 돌변한 것입니다. 북한에서 김여정의 역할에 어떤 변화가 있는 걸까요?

김아영 기자입니다.

<기자>

북한은 문재인 대통령이 제의한 특사 파견을 김여정 제1부부장이 거부했다고 밝혔습니다.

특사는 문 대통령이 북한 최고지도자인 김정은 위원장에게 보내는 것인데, 김정은이 아닌 김여정이 특사를 거부한 것입니다.

이는 김여정의 역할이 김정은을 대행하는 수준으로까지 올라갔음을 시사합니다.

김여정의 위상 상승은 최근 대대적으로 이어진 대남 규탄집회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북전단에 날 세운 김여정 담화를 최고지도자 교시받들 듯 낭독하고 나선 것입니다.

[조선중앙TV : (대남 규탄)집회에서는 먼저 (김여정)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의 담화가 낭독됐습니다.]

지난 13일 김여정이 군부에 적대 행동 행사권을 넘긴다고 한 부분도 주목해 볼 대목입니다.

군부에 대해서도 사실상의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입니다.

[조한범/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북한 군부는 최고사령관의 직접 명령을 받습니다. (김여정이 권한을) 넘겨주려고 한다는 완곡된 표현을 썼지만 이런 명령체계는 없었고요. (이런 점에서) 2인자의 역할을 하고 있고.]

김여정이 김정은 위원장의 후계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관측도 있지만, 이제 36살인 김정은이 벌써 여동생에게 권력 이양을 준비 중이라는 것은 설득력이 높지 않아 보입니다.

그래서 김여정을 후계자로 보고 있다기보다는 김 위원장의 후계자가 마련될 때까지 비상시에 대비한 대체 권력자의 위치로 부상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김여정의 역할과 위상 변화에 대해서는 좀 더 관찰이 필요해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