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광주 투입됐던 군인 "죄책감 공포 속에서 40년 보내"

<앵커>

5·18당시 광주에 갔던 군인들 중에서도 40년을 고통 속에서 보낸 사람들이 있습니다. 어디 가는 줄도 모른 채 투입됐는데 그 참상과 마주했고, 죄책감 속에 40년을 보내야 했습니다.

김학휘 기자입니다.

<기자>

[저는 40년 전에 광주에 왔던 육군 제20사단 91대대 운전병이었던 정현수입니다.]

1980년 5월, 육군 일병 정현수 씨는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고 성남공항에서 군 수송기에 올랐습니다.

[정현수/1980년 5월 당시 '광주 투입' 육군 일병 : 내려보니까 광주 송정리 비행장이더라고. 아, 이거 뭔 일이야. 차에서 내리니까 시체가 보이는데 상무관 앞에 가마니로 덮어놨더구먼.]

전남도청 인근의 검문·검색 임무를 받았습니다.

[정현수/1980년 5월 당시 '광주 투입' 육군 일병 : 시체 보면 너무 참혹했죠. 여자가 죽어 가지고, 그 여자를 생각을 해봐요.]

오월 광주에서 총 한 발 쏘지 않았지만 죄책감과 공포가 뒤엉킨 고통스러운 기억 속에서 40년을 살았습니다.

[정현수/1980년 5월 당시 '광주 투입' 육군 일병 : 그 여자분. 그 생각이 머리에 스쳐 지나갈 때 저 혼자 막 울어요. 정말로 어떨 때는 한 없이 울 때가.]

정신과 치료도 받았지만, 오월만 되면 불면의 밤을 보내야 합니다.

[차종수/5·18 기념재단 고백과 증언센터 팀장 : 당시 참여했던 군인들도 정부에서 트라우마 치료를 해줘야 한다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5·18 진상조사위도 보통 군인들의 고통과 증언을 기록하는 진상 조사를 할 방침입니다.

[정현수/1980년 5월 당시 '광주 투입' 육군 일병 : 죽기 전에 내가 있는 그대로 본 것을 나는 기록이라도 남겨야 한다, 그 하나를 난 하고 싶지, 딴 거 필요 없어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