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여러 작업 동시에 이뤄졌다…안전 관리자는 어디에?

<앵커>

근로자가 300명이 넘는 공사 현장에는 안전관리자를 두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불이 난 물류창고도 그 대상이었는데, 이 안전관리자가 제대로 일했는지를 두고 업체와 현장 근로자의 말이 엇갈립니다.

박재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이번 화재는 유증기가 나오는 우레탄폼 작업과 불티가 튀는 용접 작업, 상극인 두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오늘(2일) 지하 2층 엘리베이터 앞에서는 산소용접기와 산소절단기가 발견됐습니다.

이 때문에 화재 위험이 큰 작업은 서로 분리해 진행하거나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지시하는 안전관리자를 두도록 법에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천 참사 현장 근무자 : 우레탄과 용접이 같이 하면 안 된다는 것도 안전 관리 요원이 있으면… 그렇죠. 지시를 받으면 (같이 안) 할 수 있는 거였죠, 상황이.]

건물 곳곳에서 여러 작업이 동시에 벌어졌던 사고 당일, 시공사와 감리사는 안전관리자를 공사 현장에 배치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시공사 대표 : (사건 당일날 안전 요원과 화재 감시자가 있었나요?) 안전요원은 배치했고 순찰을 돈 걸로 알고 있습니다.]

반면, 당일 현장에서 안전관리자를 봤다는 근로자는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이천 참사 현장 근로자 : (현장에) 없었어요. 안전관리자는 상주해 있는데, 사무실에 앉아 있는 사람이고 (안전 요원을 현장에서) 본 적이 아주 오래됐습니다.]

6월 말까지인 공기를 맞추려 쫓기는 상황에서 안전관리자가 현장에 없으면 안전은 뒷전으로 밀릴 수밖에 없다는 게 현장의 설명입니다.

[이천 물류창고 공사업체 관계자 : 작업할 때 (안전) 관리자한테 '나 이제 용접합니다'라고 말하고 하지 않잖아요. 자기들끼리 여건이 작업할 시간 됐으니까 하자고 하지.]

용접 작업을 할 때 화재 감시자가 있어야 한다는 산업안전 규칙을 위반했는지도 따져봐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