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갈 길 먼 원격 수업…학부모들 "애 봐줄 사람 없어"

<앵커>

온라인 개학에 대한 걱정도 많습니다. 선생님도, 학생도 준비가 부족한 것은 물론이고, 저학년 자녀가 있는 맞벌이 부부는 아이를 어떻게 봐야할지가 막막합니다.

송인호 기자입니다.

<기자>

'원격수업' 시범학교로 지정된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사가 출석을 점검하는 데도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토론 같은 쌍방향 수업이 가능할지 의문인 것입니다.

[목소리 안들려? 음소거 푸세요. 답을 해요 답을.]

시범학교인 곳은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으로, 대부분 학교에선 아직 원격수업의 예행연습도 못했고, 데스크탑 PC로는 어렵다는 반응입니다.

[김현수/서울 영풍초등학교 교사 : (학교) 데스크톱 PC는 웹캠이 필요하니까 아무래도…]

아직 무선인터넷망이 없는 초·중학교도 3천600곳이 넘습니다.

교사들이 가장 우려하는 건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적응 문제입니다.

[박동진/가현초등학교 교사 :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좀 힘들어하는 학생은 오히려 학교 오는 것보다 교육의 결과가 더 떨어져서 교육결과의 양극화가 좀 극심해질 것 같다는 부분이…]

학부모들도 걱정입니다. 저학년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정의 경우 원격 수업을 돌봐줄 여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맞벌이 학부모 : 저학년 애들은 누가 봐줄 사람이 없어요. 그렇다고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할 수도 없는 거고.]

자녀가 둘 이상인 경우도 고민입니다.

실제로 스마트 기기가 없는 경우가 10가구 중 3가구나 되고, 스마트 기기가 없는 학생도 17만 명 정도로 파악됐습니다.

각 학교는 온라인 수업을 준비에 돌입하고 개학 후 이틀 동안 학생들의 적응기간을 두기로 했지만 오랜 코로나19 사태 속에도 사전 준비가 부족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