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원인불명 폐렴' 전수 조사…요양 병원 "준비 부족해"

<앵커>

지역사회에 퍼지는 걸 막기 위해서 정부는 이유를 알 수 없는 폐렴 환자들을 모두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먼저 요양병원부터 시작하기로 했는데, 문제는 정부도, 또 병원도 아직 준비되지 않은 게 많다는 것입니다.

남주현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의 한 요양병원. 드나드는 사람들에게 손을 소독시키고 열이 나는지 확인합니다. 보호자 면회는 아예 금지했고, 환자 진료 때도 코로나19를 염두에 둡니다.

[기침 같은 것 안 하셨죠?]

원인불명의 모든 폐렴환자에 대해 코로나19 검사를 하기로 한 보건당국은 요양병원을 최우선 순위에 뒀습니다.

코로나19에 취약한 고령 환자가 많고 중국 국적의 간병인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요양 병원에는 선별 진료소가 없고 코로나19 검사를 할 수도 없습니다.

원인 불명 폐렴을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CT 장비도 없습니다.

[(흉부 엑스레이는 찍을 수 있고, CT를 찍을 수는 없네요.) 그렇죠. (CT는) 구비할 수 없는…]

결국 코로나19가 의심되면 조기 진단과 치료가 가능한 병원으로 환자를 이송해야 하는데, 아직은 이와 관련해 명확한 지침이 없습니다.

[양진우/요양병원 진료원장 : 호흡기 증상을 주로 호소하는 분들은 아예 신환(새 환자)으로 받고 있지도 않고요.]

[이민우/대한요양병원협회 홍보이사 : 비상사태인데, 거기다가 그런 것(검체 채취)까지 온다고 하면 직원들 업무 과중도 무시 못하죠.]

요양병원 폐렴환자를 어떻게 걸러낼지, 검체 채취에서부터 CT 촬영, 진단검사까지, 구체적이고 정확한 계획이 나와야 현장의 혼선이 줄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