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부 "응급환자 더 빨리 이송"…관리 안 된 대책 '재탕'

<앵커>

우리나라에서 중증 응급환자가 적정 시간 안에 제대로 치료받는 비율은 절반밖에 되지 않습니다. 정부가 앞으로는 응급환자가 치료받을 병원을 찾아 헤매다 숨지거나 상태가 나빠지는 상황을 막기 위해 개선안을 내놨는데, 1년 전 대책과 별 차이가 없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남주현 기자입니다.

<기자>

사흘 전 뇌출혈 수술을 받은 일흔 살 환자입니다.

자정 무렵 이상이 발견돼 곧바로 가까운 대학병원에 갔지만 중환자실이 없어서 결국 다른 권역 응급의료센터로 이송됐습니다.

다섯 시간 만에야 수술을 받고 중환자실에서 회복 중입니다.

[임용수/가천대 길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 만약 중환자실이 있어서 바로 수술을 했다면, 환자의 예후나 성적이 더 좋지 않을까 싶기 때문에….]

중증응급환자가 적정 시간 안에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은 비율은 절반에 불과합니다.

보건복지부는 적정 시간 안에 치료받는 환자의 비율을 내후년까지 60%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습니다.

문제는 이번 대책이 1년 전 내놓은 개선안과 크게 달라진 게 없다는 것입니다.

당시 지역 맞춤형 이송 지침을 구비하고 119구급대가 환자에게 최적의 병원을 선정하도록 하겠다고 한 것도 올해 개선안에 똑같이 담겼습니다.

[김윤/서울의대 의료관리학과 교수 : 복지부는 명확한 지침을 만들고, 소방은 그 지침에 따라서 이송이 되는지를 모니터링해야 하고. 그런데 지침을 지키는지 중증환자가 얼마나 제대로 최종 치료기관에 이송되는지도 모니터링하거나 자료도 내놓지 않아요.]

중증환자 응급 수술 시에는 중환자실 확보도 필수인데, 고질적인 중환자실 부족에 대한 개선안도 빠졌습니다.

병원이 응급환자를 받지 않는 수용곤란 고지, 이른바 바이패스 기준을 마련하고 총량을 관리하기로 한 만큼 그 적용 시점을 앞당기고 꼼꼼히 모니터링하는 대책도 필요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