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블랙아이스 관리한다더니…현장엔 표지판만 '덩그러니'

<앵커>

사흘 전 상주-영천 고속도로에서 일어난 대형 교통사고의 원인으로 눈에 잘 보이지 않는 빙판 블랙아이스가 지목됐죠. 정부가 겨울철엔 결빙 취약 구간을 특별 관리해왔다고 하는데 저희 취재진이 직접 현장을 찾아가 봤습니다.

제희원 기자입니다.

<기자>

국토부가 관리하고 있는 결빙 취약구간은 전국에 193곳입니다.

이번에 사고가 났던 상주-영천 고속도로도 이 취약 구간 중의 한 곳이었는데요, 이곳들이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지 제가 직접 가보겠습니다.

한 민자고속도로 입구로 진입하자 '결빙 위험' 표지판이 보입니다.

상습 결빙 도로란 얘기인데 2km 가까이 주행하는 동안 양 방향에 표지판 하나씩이 전부입니다. 그마저도 지나치기 십상입니다.

고가도로로 가 봤습니다. 조금만 추워도 살얼음이 끼는 결빙 취약구간이지만 진입 초입 부에 안내판 하나가 있을 뿐 어디에도 자동 염수분사장치 같은 결빙 예방 장비는 없습니다.

위험 구간임을 미리 알고 서행 운전을 하는 게 최선이지만 초행길 운전자에겐 쉽지 않습니다.

[화물차 기사 : '눈이 온다, 비가 온다'고 하면 겨울 날씨니까 비가 와도 얼잖아요. 미리 (제설제를) 뿌려주면 되잖아요. 근데 그걸 안 한다니까요. 겁나죠. 비 오거나 하면 감이 와요. '아 사고 났겠다'하면 100% 사고 나요.]

시내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이달 초부터 내비게이션에서 결빙 구간 안내를 시작했지만 아직 시범단계입니다.

정부는 결빙 취약 구간에 대한 전면 재조사를 벌인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관리 매뉴얼도 갖추지 못한 상황이라 언제 닥칠지 모를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건 오롯이 운전자의 몫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