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몇 주 만에 수억 '껑충'…정부, 집값 잡을 수 있을까

<앵커>

분양가 상한제 대상지역도 크게 늘었습니다.

대출 또 세제까지 망라한 강력한 대책인데, 과연 집값을 잡을 수 있을지 박찬근 기자가 따져봅니다.

<기자>

서울 강남구 개포동의 한 아파트 단지.

분양가 상한제 시행 예고 직전인 지난 6월, 16억 5천만 원 선에서 거래되던 96㎡ 형이 넉 달 만에 무려 4억 원 가까이 오른 20억 3천만 원에 매매됐습니다.

[김철빈/서울 강남구 공인중개사 : 집이 없어서 못 팔고 있어요, 실제로. '내 보유주택의 상승폭보다 강남 쪽 상승폭이 더 빠르니까 빨리 가야겠다'라는 그런 생각이 있으신 것 같아요.]

저금리 장기화로 시중 유동자금이 불어나고 이자 비용이 크게 낮아진 상황에서 정부가 과감한 보유세 인상과 공시가격 현실화에 주저한 것이 집값 급등의 한 요인입니다.

공급이 줄어들 거라는 시장의 불안심리 등을 제대로 읽지 못한 채 분양가 상한제를 정교한 보완책 없이 시행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정작 내 집 마련이 급한 무주택 실수요자 사이에서는 고가 주택 가격 억제에만 집중한 대책이어서 피부에 와 닿지 않는다는 반응이 적지 않습니다.

[김 모 씨/무주택자 : 정부 규제 대책이 많이 나왔는데도 불구하고 집값이 실제 계속 많이 올랐잖아요. 저희 같은 무주택자들 입장에서 실제 집값이 과연 떨어질 것이냐 (의문입니다.)]

강력해진 대출 규제로 현금 부자만 집을 살 수 있게 됐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정부는 집값을 낮추는 방향으로 초점을 맞춘 것으로 풀이됩니다.

집을 사려는 수요 억제에 초점을 맞춘 이번 대책이 거래를 위축시킬 수는 있지만, 근본적으로 서울 집값을 끌어내릴 수는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분위기가 우세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