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문 대통령이 나서 정면 대응 의지 밝힌 이유는?

<앵커>

청와대 취재기자 연결해서 정부의 대응책 정리해보겠습니다. 

전병남 기자, 먼저 오늘(2일) 생중계됐던 문재인 대통령의 국무회의 발언, 그 내용이 상당히 강했습니다.

<기자>

오늘 발언, 키워드만 모아보죠. 

'명백한 보복' '중대한 도전' '지지 않겠다' '굴복하면 역사가 반복될 것' 지금 단계에서 쓸 수 있는 강한 표현들이 모두 동원됐다는 평가입니다. 

경제를 넘어 외교와 과거사, 그리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국가적 비상사태인 만큼 대통령의 정면 대응 의지를 국민 앞에 직접 밝힐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앞서 경제부총리가 우리도 화이트리스트에서 일본을 빼겠다고 했었는데, 혹시 청와대에서도 그런 대응 조치를 밝힌 게 있습니까?

<기자>

기자들이 가장 많이 물어본 질문도 우리의 대응 카드가 무엇인지였습니다. 

정부의 현재 입장, "공개할 수 없다"입니다. 

우리 패를 미리 깔 수 없고,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서 밝히겠다는 겁니다. 

우선 오늘은 우리도 일본을 백색 국가에서 제외하기로 했죠. 

여기에 일본이 우리에게 그랬던 것처럼 일본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는 품목의 수출을 제한하는 방안까지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앵커>

정면 출동 양상으로 흐르고 있는 이 문제를 외교적 방법으로 풀어보려면 결국 미국의 중재가 필요할 텐데, 여기에 대해서는 혹시 청와대가 생각하고 있는 게 있습니까? 

<기자>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이 지렛대가 될 것 같습니다.

미국이 우리와 일본의 '스탠드 스틸' 그러니까 현상동결을 제안하며 합의를 해보자고 했던 시한이 24일, 협정 연장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날입니다. 

미국이 이 협정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실제 앞서 보신 것처럼 김현종 국가안보실 2차장도 오늘 협정 파기 카드를 살짝 흔들었죠. 

다만 당장 파기 여부를 결정하지도, 또 방침을 공개하지도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만료일 직전까지 협상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인데, 물밑이든 공개든 한미일 삼각 협정 결과가 오는 8·15 광복절 대통령 담화의 수위와 방향을 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박승원·유동혁, 영상편집 : 정성훈, 현장진행 : 이원식)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