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외교부 "日, 더 이상 우호국으로 생각 못해"…협정 파기 시사

<앵커>

우리 외교부는 주한 일본 대사를 불러 "한국 사람들은 더 이상 일본을 우호 국가로 생각할 수 없을 거"라며 강력한 항의의 뜻을 전했습니다. 청와대는 지금까지 일본에 고위 인사를 두 차례 보내면서 여러 각도로 노력했지만, 그것을 일본이 모두 거부해왔다며 한일 군사정보협정을 파기할 가능성도 직접적으로 언급했습니다.

계속해서 정유미 기자입니다.

<기자>

조세영 외교부 1차관이 나가미네 주한 일본 대사를 외교부 청사로 불러, 화이트리스트 배제는 우호 협력국의 도리를 저버리는 행위라고 강하게 항의했습니다.

[조세영/외교부 1차관 : 이런 보복적인 경제 조치를 취하는 국가를 우리 국민들은 더 이상 우호국으로 생각할 수 없을 것입니다.]

나가미네 대사는 양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의도는 없다는 억지 주장을 펼치면서, 한국 내 시위와 불매운동을 우려한다고 했습니다.

이 문제를 다뤄온 김현종 청와대 안보실 2차장도 나섰습니다.

지난달 정부 고위 인사 2명이 일본을 방문한 사실을 공개했습니다.

[김현종/청와대 안보실 2차장 : 일본 측이 요구하는 제안을 포함하여 모든 사안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논의할 의향이 있다는 입장도 (일본 고위인사에게) 전달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제안도 거부하는 등 사태 책임은 일본에 있다고 김 차장은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한일 군사정보보호 협정 파기 가능성도 직접적으로 언급했습니다.

[김현종/청와대 안보실 2차장 : 안보상의 문제를 제기하는 나라와 과연 민감한 군사정보 공유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를 포함하여 앞으로 종합적인 대응 조치를 취해 나갈 것입니다.]

여당에서도 파기 신중론을 접는다는 말이 나왔습니다.

[이해찬/더불어민주당 대표 :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유지 여부를) 신중하고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된다고 저는 늘 생각했는데, 오늘로써 그 생각은 접어야 될 것 같습니다.]

신뢰가 무너진 상황에서, 군사정보 교류는 모순이라는 건데, 협정 파기 카드가 미국의 관여를 이끌어낼 지렛대라는 판단이 여전히 작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박승원·유동혁, 영상편집 : 위원양)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