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KT망 '콜폰' 끊겨 응급실 난리"…방범 시스템도 '스톱'

<앵커>

이번 사고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들 가운데 특히 방범이나 의료 같은 사회 안전 분야의 취약성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무방비 상태를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박재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 마포구의 한 식당, KT 아현지사에 불이 난 직후부터 그제(25일) 밤까지 이틀간 KT망을 기반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KT텔레캅 직원 : (업체 쪽에서) 신호가 전송이 되지 않는 거예요. 그때 대처할 수 있는 게 없어서 그쪽에 순찰 인력을 강화하고….]

방범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단 사실을 식당 주인이 알게 된 건 그제 오후였습니다.

KT텔레캅이 방범 시스템 이상 문자를 그제서야 발송했기 때문인데 그전에 도둑이 들었다면 그대로 당할 뻔했습니다.

[손문승/음식점 사장 : 문자 보는 순간 아 우리 집도 이거 설치돼 있으니까…만약 밤에 침입자가 들어오면 우리는 그냥 큰일 날 뻔했잖아요.]

대형 종합병원인 신촌세브란스병원도 그제 오전까지 혼란을 겪어야 했습니다.

의료진 간에 호출하거나 정보를 알려줄 때 사용하는 '콜폰'이 KT망을 쓰고 있어서 사내 방송으로 일일이 호출해야 했습니다.

[신촌세브란스병원 직원 : 수동으로 일일이 (의사를) 찾아서 불렀어요. 주말에 응급실 전체가 난리 났었어요. 연락 빨리돼야 하는데….]

병원에서 약국으로 처방전을 전송하는 시스템은 어제도 정상을 되찾지 못했습니다.

처방전에 대해 의사에게 문의하거나 대체약을 조제하려면 병원과 팩스로 처방전을 주고받아야 하는데 유선전화와 팩스가 여전히 먹통이었기 때문입니다.

시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는 치안과 방범, 의료 시스템이 끊기면 바로 먹통이 되는 통신선 한 줄에만 의존해선 안 된다는 걸 이번 사고는 여실히 보여주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