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경보 울려도 '어디지?'…위치 파악 어려운 화재 감지기

<앵커>

화재 경보가 울릴 때 정확히 건물 어디에서 감지된 건지, 어디서 불이 난 건지도 알 수 있으면 더 빠르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겠죠. 그런데 그런 건물이 생각보다 많지 않았습니다.

정다은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기자>

서울 영등포구의 7층짜리 상가 건물입니다.

경비실 복합수신기에 대피 방송과 사이렌, 경광등을 끄는 버튼에 번호가 매겨 있습니다.

경보가 울리면 차례로 끄라고 붙여놓은 겁니다.

[경비원 : 화재가 안 난 층에도 다 울리니까 일단 끄고, 이걸 안 꺼놓으면 사람들이 다 막 나오잖아요. 그런데 화재가 아닐 경우가 많아서….]

아예 화재경보시스템을 꺼둔 건물도 있습니다.

[안전관리인 : 소화전 벨 소리가 하도 오작동이 나가지고, 카페 같은 영업장이 있으니까 영업에 지장이 있거든요.]

실제로 지난 8월 9명이 숨진 인천 세일전자 화재 때도 화재경보가 울렸지만, 경비원이 평소처럼 오작동으로 생각하고 경보 수신기를 꺼서 피해가 커졌습니다.

이런 문제는 경보가 울리게 한 정확한 위치를 알기 힘든 화재감지 시스템에서 시작됩니다.

한 유스호스텔에서 601호와 602호 화재감지기를 차례로 작동시켰더니 모두 6층 중앙으로 표시됩니다.

화재감지기가 600㎡ 단위로 식별하게 돼 있다 보니 화재가 감지된 정확한 위치를 구분해 알려주지 못하는 겁니다.

오작동으로 울려도 어느 감지기가 고장인지 몰라 못 고치고 오작동이 반복되면 버릇처럼 수신기를 꺼버리는 일이 생기는 겁니다.

[권미혁 의원/국회 행정안전위 (더불어민주당) : 소방청에서는 감지기 자체가 개별로 위치가 파악될 수 있도록, 외국 사례 같은 것도 좀 볼 필요가 있고요.]

2012년부터 30층 이상 신축 건물에 각 감지기의 위치를 구별할 수 있는 설비를 갖추도록 의무화됐지만 이런 설비는 기존 설비보다 5배에서 8배까지 비싸서 기존 건물에선 잘 교체하지 않는 실정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