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극심한 '의료 쏠림' 막는다…책임병원 지정 · 공공의사 육성

<앵커>

정부가 의료서비스가 취약한 지역에 대해서 책임 병원을 지정하고, 공공 의사를 육성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민간병원의 수익 사업을 중심으로 이뤄져 온 의료서비스 사업에 대해서 공공성을 강화하겠다는 겁니다.

보도에 배준우 기자입니다.

<기자>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우리나라 보건 의료 실태를 조사한 결과 수도권과 대도시 '쏠림 현상'이 극심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치료가 가능한 데도 의료 서비스가 부족해 숨진 사람은 경북 영양군이 서울 강남구보다 3.6배, 충북은 서울보다 1.3배 많았습니다.

출산을 앞둔 산모가 병원에 도달하는 시간도 전남이 42분, 서울이 3분으로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특히 심장질환이나 교통사고 외상 등 응급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는 시간은 전국 평균 240분으로 '골든타임'을 놓치는 때가 많았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전국을 70여 개 권역으로 나눠 책임병원을 지정할 방침입니다.

[박능후/보건복지부 장관 : 필요하면 민간병원의 인수 등도 고려하겠습니다. 책임 의료기관에는 예산 지원과 함께 의료 취약지에 정책적 지원을 통해 관리해 나가겠습니다.]

정부는 또 2022년 3월까지 4년제 국립보건의료대학원을 세운다는 계획도 발표했습니다.

학비와 기숙사는 전액 국비로 지원되고 졸업하면 의료 취약 지역에서 10년 동안 일하도록 한다는 내용입니다.

하지만 보건 의료계 내부에서는 거액의 예산을 투입하는 데 비해 과연 실효성이 있겠느냐는 논란이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