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靑 "9월 초 어려워" vs 北 "날 정해졌다"…개최 시기는?

<앵커>

당초 예상은 어제(13일) 회담에서 정상회담의 날짜까지 정해질 걸로 기대했지만, 방금 전해드린 대로 9월 안에 연다는 것만 합의됐다는 게 공동 발표된 내용입니다. 그런데 북측 리선권 대표는 날짜도 다 정해졌다고 발표문과 다른 얘기를 해 여러 추측을 낳았는데요, 북한 정권수립일인 9.9절과 관련된 양측의 생각 차이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전병남 기자입니다.

<기자>

회담 분위기는 화기애애했지만, 리선권 북한 조평통위원장은 종결회의에서 다소 미묘한 발언을 했습니다.

[리선권/북측 수석대표 : 회담과 개별접촉에서 제기한 문제들이 만약 해결되지 않는다면, 일정에 오른 모든 문제들이 난항을 겪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정부 당국자는 "그동안 논의해오던 남북 경협에 속도를 내라는 발언"으로 풀이했습니다.

당초 기대됐던 정상회담 날짜가 확정되지 않은 이유가 경협 속도에 대한 불만 때문이었음을 짐작하게 하는 대목입니다.

또 정상회담이 9월 언제쯤 열릴지, 남북이 다소 다른 얘기를 했습니다.

[조명균/남측 수석대표 : 구체적인 날짜는 좀 더 여러 가지 상황들을 보면서 협의해 나가자, 결정하자…]

[리선권/북측 수석대표 : (남북 정상회담이) 9월 안에 진행된다는 것, 날짜도 다 돼 있습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북한이 내부적으로 정한 날짜를 공개하기 적절치 않아서 그런 것 아니겠냐"며, "9월 정상회담 자체를 무산시키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9월 초 방북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했습니다.

9월 중순 이후를 기정 사실화한 건데, 북한 정권수립일인 9·9절 이전에 방북하는 데 대한 정치·외교적 부담을 고려해, 9월 초를 배제한 걸로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