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한반도 대운하 중단' 발표해 놓고서…MB "수심 6m 파라"

<앵커>

이명박 정부 시절 행해진 4대강 사업에 대해 네 번째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수심 6m 이상 굴착을 밀어붙이는 등 이 전 대통령이 대운하를 염두에 뒀던 정황들이 드러났습니다.

보도에 최재영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08년 이명박 전 대통령이 대운하 사업 중단을 발표한 지 두 달 뒤, 이 전 대통령 지시로 4대강 하천 정비 사업이 시작됩니다.

이 전 대통령은 보 설치와 수심 6m 굴착을 구체적으로 지시했습니다.

수심 6m는 한반도 대운하 조건 중 하나였습니다.

국토부가 수심을 깊이 파는 건 물관리 사업에 뚜렷한 이점이 없다고 설명했지만, 이 전 대통령은 통치권적 차원이라며 밀어붙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감사원 조사에서 당시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이 운하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계셨다고 진술하기도 했습니다.

국토부는 결국 기술적 분석도 하지 않은 채 지시에 그대로 따랐습니다.

환경부도 조류 농도가 증가해 수질 오염 우려를 알면서도 대통령실에서 조류 관련 표현을 삼가 달라는 요청을 받자 대통령에게 4대강 수역 수질이 개선될 거라고 보고했습니다.

감사원은 경제성 분석 결과 향후 50년간 비용은 31조인데 수질 개선, 홍수 예방 등 이익은 6조 6천억 원에 그쳤다고 밝혔습니다.

이명박 전 대통령 비서실은 정치적 감사는 중단돼야 한다는 입장을 냈습니다.

지금까지 4차례 4대강 감사로 19명에 대해 징계나 수사를 요청했지만, 이번에는 징계 시효 경과로 국토, 환경, 기재부 장관에 주의 요구만 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