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소득주도 지키려다…靑, 최저임금 '반쪽 설명' 논란 자초

<앵커>

최저임금 논란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청와대가 자영업자나 실직자는 빼고 일반 근로자만 가지고 최저임금 인상이 효과가 있다는 분석을 내놓은 데 대해서 논란을 스스로 키웠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남승모 기자입니다.

<기자>

청와대는 '소득주도 성장 긍정 효과 90%'란 대통령 발언의 근거 자료는 문제가 없다고 거듭 반박했습니다.

애초부터 전체 가구가 아니라 근로소득 가구에서 확인된 긍정 효과를 자신 있게 설명하자는 취지였다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최저임금 관련 논란의 핵심은 저소득 자영업자들과 고용에서 밀려난 실업자 관련 통계인데, 근로자 가구 통계만 근거로 한 건 부적절했단 지적입니다.

실제 청와대도 영세 자영업자와 실업자 등이 포함된 '근로자 외 가구'의 소득 감소가 분배를 악화시킨 걸 잘 알고 있습니다.

[홍장표/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 (그제) : 가구단위 소득분배 악화의 주된 원인은 '근로자외 가구'의 소득격차가 크게 벌어진 데 따른 것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청와대는 근로자가 아닌 가구의 소득 감소는 최저임금 인상의 여파인지 추가 분석이 필요하단 입장입니다.

김동연 부총리까지 최저임금 인상 속도 조절론을 폈던 당시 상황에서, 청와대가 원인 분석도 채 끝나지 않은 자료로 성급하게 방어에 나섰다가 논란을 키웠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