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빨라진 한반도 외교 시계…청와대, 일정 조율 등 물밑 중재

<앵커>

남·북한이 판문점 선언에 전격적으로 합의하면서 비핵화를 향한 외교일정도 더욱 바빠졌습니다. 이번달 초 한·중·일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5월 한 달 동안에 한미, 북미회담이 잇따라 열립니다. 북미회담 후엔 남·북·미 3자 정상회담을 열기로 남북 두 정상은 이미 공감대를 이뤘습니다.

남승모 기자입니다.

<기자>

판문점 선언 이후 첫 번째 큰 움직임은 이달 초 일본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담입니다. 남북 정상회담 결과를 설명하고 중국과 일본의 협조를 거듭 약속받는 게 필요합니다.

그 직후엔 북미 회담에 앞서 한미 정상회담이 열릴 예정입니다.

북미 정상회담이 3~4주 뒤, 대략 이달 24일 전후로 일정이 당겨지면서, 회담 일정 조율부터 숨 가쁜 상황입니다.

청와대는 북미회담 장소 같은 실무 문제부터 비핵화 로드맵 같은 핵심 의제에 이르기까지 물밑 중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이번 판문점 선언으로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시대를 되돌릴 수 없는 역사로 만들어야 합니다.]

남북미 3자 회담도 추진됩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지난달 27일 정상회담 때 두 정상이 남북미 회담을 하자는데 공감대를 이뤘다고 밝혔습니다.

이 관계자는 남북미 회담은 가급적 빨리해야 한다고 말해 이르면 북미 회담 직후가 될 수 있음을 내비쳤습니다.

북미 회담에서 양측이 신뢰 구축에 성공한다면 3자회담이 한반도 평화 구축에 결정적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