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폭탄 관세" "보복" 美·中 강공 대치…물밑협상도 병행

<앵커>

미국이 중국산 첨단제품에 폭탄 관세를 물리겠다고 발표하니까, 반대로 중국은 미국에게 그만큼 중요한 농산물과 자동차에 똑같이 해주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습니다. 하지만 말은 일단 거칠게 하고 협상을 해서 타협점을 찾을 거라는 전망도 여전히 나오고 있습니다. 무역 전쟁이 강해지면 우리도 중간에서 피해가 꽤 클 거라서 협상 과정 계속 눈여겨봐야 됩니다.

워싱턴 정하석 특파원입니다.

<기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트위터에서 미·중 간 무역 전쟁은 이미 오래 전에 패배했고, 지금은 전쟁 상태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중국에 대해 연간 5천억 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하는 상황에서 더 잃을 순 없다고 말했습니다.

중국과 전쟁하려는 게 아니라 빼앗아 간 것을 되찾으려는 것뿐이라며 무역 전쟁의 책임이 중국에 있음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샌더스/美 백악관 대변인 : 중국이 올바르게 행동하길 바랍니다. 미중 무역 마찰은 트럼프 대통령이 아니라 중국이 야기한 것입니다. 대통령은 기꺼이 여기에 맞설 뿐입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두 통상 사령탑은 화전 양면의 메시지를 동시에 던졌습니다.

윌버 로스 상무장관은 중국 보복 관세의 영향이 미국 국내총생산의 0.3%에 불과하다며 전쟁을 피하지 않겠다는 각오를 밝혔고,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관세 폭탄을 취소할 수도 있다며 협상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중국은 미국 관세 폭탄의 WTO 제소와 함께, 중국이 보유한 1천 200조 원 규모의 미국 국채를 내다 팔 가능성도 내비쳤습니다.

[추이톈카이/주미 중국 대사 : (미국 국채를 내다 팔) 상황을 피하려 노력하고 있지만, 상대가 잘못된 선택을 한다면 우리는 반격할 수밖에 없습니다.]

무역을 둘러싼 미·중 간의 긴장 수위는 협상의 돌파구가 열리기 전까지 계속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