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수출길 막혔는데 수입은 증가…쌓이는 재고에 폐자원은 '애물단지'

<앵커>

폐비닐과 플라스틱 수거 거부로 인한 혼란은 정부의 발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번 혼란은 국내 폐자원의 중국 수출길은 막히고 수입하는 폐자원은 더 늘어나고 있는 게 큰 원인입니다.

노동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수도권의 한 폐자원 수집 업체입니다.

폐지 더미에서 흰 종잇조각이나 코팅 종이를 일일이 골라낸 뒤 나머지를 제지 업체에 상자 재료로 팝니다.

이 수집업체의 파지들은 작년까지만 해도 25톤 화물 차량으로 끊임없이 실어 날랐습니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는 처리할 곳이 없어 아파트 2층 높이로 쌓여 있습니다.

중국 수출길이 막힌 데다 값싸고 질 좋은 미국산 폐지까지 들어오면서 재고가 갈수록 쌓이는 겁니다.

[자원수집업체 대표 : 미국이 신문이나 박스는 폐기물이에요. (폐기물이니까) 소각하든지. 그러니까 그 폐기물을 가져다 우리나라 업자들이 싸게 들여오는 거죠.]

이 페트병 수집업체도 수입산 공세에 휘청입니다.

지난해 1월 kg당 350원이던 폐페트병 값은 올해 들어 290원으로 떨어진 뒤 지금은 26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페트병 수집업체 대표 : 20년 만에 제일 힘들어요, 지금. 중국이 막고 나니까 좋은 물건이 들어오는 거예요.]

우리나라 페트병은 색깔이 제각각 들어 있어서 처리 비용이 많이 들어 재활용 가치가 떨어집니다.

반면, 일본이나 미국 등 선진국에서 색이 없는 페트병 폐기물이 값싸게 들어와 시장을 잠식하고 있습니다.

값싼 외국 폐자원 수입 때문에 국내 폐자원은 갈수록 경쟁력을 잃고 애물단지가 되고 있지만 정부는 폐자원에 대한 수입규제를 아직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