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상처 안고 살아온 70년…홀로 아픔 견디는 4·3 희생자

<앵커>

오늘(3일)은 4월 3일, 제주 4·3 사건 70주기입니다. 해방 직후 좌우 갈등 속에 아무 죄 없는 민간인까지 제주 인구에 10분에 1이 희생된 사건입니다.

아직도 그 진상이 밝혀지지 않고 있는데, 안상우 기자가 그 피해자들을 만났습니다.

<기자>

고순호 할머니는 올해 93살이지만, 70년 전 일이 어제 일처럼 생생합니다.

낮에는 군경 토벌대가 들이닥쳐 있지도 않은 남편을 숨겨뒀다며 사정없이 매질했습니다.

[고순호 할머니 : 결혼도 안 했는데도 남편을 내놓으라고, 폭도로 산에 보냈다고 나오라고 하면서 경찰이 때렸어요.]

어둠과 함께 또 다른 공포가 엄습했습니다. 산에 있던 남로당 무장대가 마을로 내려왔습니다.

[고순호 할머니 : 난 이미 매를 맞아서 잘 움직이질 못해서… 죽창으로 옆구리를 찔렀어요.]

좌익이 뭔지 우익이 뭔지도 몰랐던 산마을 주민은 이렇게 이념 갈등의 희생양이 됐습니다.

[고순호 할머니 : 물질을 하고 나오니 사람들이 막 순경 왔다고… 제일 앞에서 도망가다가 총 맞은 거예요.]

누가 가해자인지 밝히지 않는 역사의 침묵 속에 보복이 두려워 수십 년을 침묵했습니다. 당시 병원기록도 없어 희생자로 인정받지도 못하는 실정입니다.

[고순호 할머니 : 4·3이라고 말을 못 했어요. 이 사람이 폭도인지 알 수가 없으니까. 그때는.]

4·3의 희생자는 3만 명으로 추정되지만, 정부가 인정한 희생자는 1만 4천여 명, 정부 인정 희생자는 매달 50만 원의 지원금이라도 받지만, 나머지 희생자는 홀로 아픔을 견뎌야 했습니다.

오늘은 제주 평화공원에서 있을 4·3 70주년 추념식을 비롯해 서울 등 전국 각지에서 추념 행사가 열릴 예정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