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괴로운 상처 안고 살아온 70년…"4·3 진상 규명·보상 필요"

<앵커>

올해는 제주 4·3 70주년입니다. 주민 6명이 경찰의 발포로 숨진 사건과 남한 단독선거 반대를 계기로 제주에서 항쟁이 시작됐고 당시 이승만 정권이 '북한의 사주를 받은 폭동'이라며 무자비한 토벌을 벌였던 우리의 아픈 현대사입니다. 

당시 숨진 주민만 해도 1만 4천 명이 넘지만 70년이 흐른 지금까지도 진실을 밝히지 못하다 보니 적절한 배상이나 지원이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그때를 기억하는 희생자들은 여전히 상처에 괴로워하고 있습니다.

안상우 기자가 만나봤습니다.

<기자>

고순호 할머니는 올해 93살이지만 70년 전 일이 어제 일처럼 생생합니다. 낮에는 군경 토벌대가 들이닥쳐 있지도 않은 남편을 숨겨뒀다며 사정없이 매질했습니다.

[고순호 할머니 : 결혼을 안했는데도 남편을 내놓으라고, 폭도로 산에 보냈다고 나오라고 하면서 경찰이 때렸어요.]

어둠과 함께 또 다른 공포가 엄습했습니다. 산에 있던 남로당 무장대가 마을로 내려온 겁니다.

[고순호 할머니 : 난 이미 매를 맞아서 잘 움직이질 못해서…죽창으로 옆구리를 찔렀어요.]

좌익이 뭔지 우익이 뭔지도 몰랐던 산마을 주민은 이렇게 이념 갈등의 희생양이 됐습니다.

[피해자 할머니 : 물질을 하고 나오니 사람들이 막 순경왔다고…제일 앞에서 도망 가다가 총 맞은 거에요.]

총에 맞고 죽창에 찔린 상처로 심각한 후유증도 앓았습니다. 하지만 누가 가해자인지 밝히지 않는 역사의 침묵 속에 보복이 두려워 수십 년을 침묵했습니다.

당시 병원기록도 없어 희생자로 인정받지도 못하는 실정입니다.

[고순호 할머니 : 4·3이라고 말을 못해봤어요. 이 사람도 폭도인지 알 수가 없었으니까. 그때는.]

4·3의 희생자는 3만 명으로 추정되지만 정부가 인정한 희생자는 1만 4천여 명. 정부 인정 희생자는 매달 50만 원의 지원금이라도 받지만 나머지 희생자는 홀로 아픔을 견뎌야 했습니다.

[김동만 교수/제주한라대학교 방송영상센터 : 희생자에 대한 배상·보상의 문제를 이번에 특별법에 담아서 (해결이) 이루어져야 된다고 보고요.]

희생자들의 한과 아픔을 달래기 위해서는 노무현 정부 이후 진척이 없는 4·3 진상 규명이 계속돼야 합니다.
  
(영상취재 : 최대웅, 영상편집 : 박진훈)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