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호가 올려라" 집주인들이 중개소 압박…집값 담합 기승

<앵커>

아파트 단지 집주인들이 뭉쳐 부동산 호가를 올리라며 동네 중개업소를 압박하는 사례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다른 아파트만큼 우리도 올려야 한다는 건데, 시장을 왜곡시키고 실수요자들 피해도 우려됩니다.

이 강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동부이촌동의 공인중개업소 출입문마다 안내문이 붙어 있습니다.

"중개업자도 지역 주민"이라며 아파트값 담합을 하지 말라는 내용입니다.

갈등은 해당 아파트 주민들의 인터넷 커뮤니티에 '적정 거래가'라며 집값이 게시되면서 시작됐습니다.

시세보다 2억 원 정도 올려놓은 건데 이걸 따르지 않는 중개업소에 대해 허위 매물을 내놓은 곳이라며 신고까지 했습니다.

[동부이촌동 공인중개사 : 낮은 가격 가지고 미끼물건을 만들어서 가격을 싸게 후려치는 그런 부동산들이다, 그래서 이촌동은 너희 때문에 가격이 안올랐다, 이렇게 되기 시작 한 거에요.]

압박을 견디다 못한 중개사들은 결국 해당 인터넷 아이디의 주민들을 업무방해 등 혐의로 고소했습니다.

주민들에 의한 아파트 가격 담합은 서울뿐만 아니라 이곳 경기도에서도 종종 벌어지고 있습니다.

경기도 광교 신도시에서는 부녀회가 정한 적정 가격을 엘리베이터 안에 은밀하게 써놓으면 부근 중개소들이 그대로 따를 정도입니다.

[광교신도시 공인중개사 : 가격들을 일제히 담합해가지고 본인들이 올려요. 2억을 갑자기 올려놨네. (일주일 만에 그런 거죠?) 네, 너무 심한 것 같아요.]

주변과 비교해 가격 상승 폭이 크지 않은 곳을 중심으로 이런 행위가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

이런 부당한 짬짜미가 정부의 대책에도 집값이 쉽게 꺾이지 않는 요인 가운데 하나가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런 짬짜미에 대해 처벌할 근거가 없다고 밝혀 해당 아파트 명단 공개 같은 별도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영상편집 : 오영택, VJ : 정민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