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숨진 신생아, 병원 내 감염 가능성 높아…경로 확인 주력

<앵커>

이대목동병원에서 숨진 신생아 3명의 혈액에서 동일한 항생제 내성세균이 발견됨에 따라 병원 내 감염 가능성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의료진을 통한 감염이 유력하다고 보고 감염경로 확인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남주현 기자입니다.

<기자>

신생아들이 숨지기 전, 네 명 중 세 명에게서 채취한 혈액에서 유전자까지 똑같은 시트로박터 프룬디 균이 검출됐습니다.

시트로박터는 그람음성균의 하나로, 건강한 사람의 장에 있을 때는 병을 일으키지 않지만, 면역력이 약한 미숙아에게는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는 치명적인 세균입니다.

질병관리본부가 주목하는 것은 세 명에게서 똑같은 균이 나왔다는 것, 그리고 신생아들의 혈액 안에 있던 이 균이 항생제가 듣지 않는 균이라는 점입니다.

병원생활을 오래 했거나 항생제 투여를 했던 사람의 장에 있던 균이 신생아에게 감염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다시 말해 병원에 입원한 환자나 내성균을 가진 누군가의 균이 의료진을 통해 전달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겁니다.

[홍정익/질병관리본부 위기대응총괄과장 : 같은 감염원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고, 의료진과 다른 환자하고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분들에 대해서 검사할 필요가 있고요.] 질병관리본부는 감염원이 누구인지, 감염 경로는 어떻게 되는지 역학조사를 계속할 방침입니다.

또,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신생아들의 혈관 등 각종 장기에서 떼어낸 조직을 분석하면, 시트로박터균으로 인한 염증이 사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도 밝혀질 것으로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