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특수활동비 흐름 쫓는 검찰…수사 파장 어디까지

<앵커>

법조팀 박상진 기자와 검찰 수사 상황 짚어보겠습니다.

결국 돈이 어디에 쓰였냐가 궁금한데요, 검찰은 어느 정도 확인했나요?

<기자>

매달 1억 원씩 청와대로 들어간 돈의 용처는 뇌물 수사의 핵심이기도 합니다.

현재 검찰 주변에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직접 돈을 요구했다는 진술이 나온 만큼 박 전 대통령의 의상 제작이나 미용 시술에 쓰였을 거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경조사비용이나 공무원 등에 내려주는 금일봉 같은 용도로 쓰였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일각에서는 국정원으로부터 직접 돈을 받아 온 이른바 문고리 3인방이 개인적 용도로 썼다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

확인된 사실은 아니지만 주택 구입자금에 쓰였다는 건데요, 실제 이재만·안봉근·정호성 전 비서관은 지난 2014년 서울 강남구와 서초구에 7억에서 9억 원대의 빌라와 아파트를 구입했습니다.

<앵커>

문고리 3인방 외에도 국정원 돈을 받은 청와대 인사들이 더 늘어날 가능성은 있나요?

<기자>

박근혜 정부 시절 수석비서관들은 모두 전전긍긍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청와대 전반으로 수사가 확대되는 거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는데요, 아직 검찰 수사에서 드러난 건 조윤선, 현기환 전 수석 둘뿐입니다.

어제(1일) 청와대의 모든 수석실이 국정원 돈을 받았다는 기사가 나오기도 했습니다만 검찰은 공식적으로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습니다.

<앵커>

향후 엄청난 파장이 예상되는데 앞으로 수사 어떻게 예상되나요?

<기자>

앞으로 검찰은 국정원이 청와대에 보낸 특수활동비의 흐름을 쫓는데 주력할 겁니다.

이 돈을 두고 뇌물이냐 아니냐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용처가 중요하기 때문인데요, 아직은 추정이지만 만약 국정원의 돈이 청와대를 통해 정치권으로 흘러갔다면 수사의 파장은 가늠하기 어렵습니다.

여의도발 게이트로 비화될 가능성이 높은데요, 또한 국정원 특활비 상납이 관행이라는 말이 나오는 만큼 이명박 정부 당시 국정원으로까지 수사가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 안보 예산 상납했나…"적폐 청산" vs "역대 정권 다 조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