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뇌물? 통치자금?…상납금 수사, '용처 확인'에 달렸다

<앵커>

검찰은 이런 진술을 토대로 국정원이 상납한 돈은 결국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뇌물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돈을 받은 사람들은 통치자금이었다고 주장하는데, 결국 이 돈을 어디에 썼는지를 밝히는 게 이번 수사의 최대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

이어서 민경호 기자입니다.

<기자>

검찰은 돈을 받고 쓰는데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다는 정황이 드러난 만큼, 국정원이 상납한 돈의 적어도 일부는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뇌물로 보고 있습니다.

국정원 인사 등을 좌지우지하는 공무원인 대통령이 받았고, 주고받는 사람이 업무적으로 관련돼 뇌물죄의 구성요건을 모두 충족한다는 겁니다.

하지만 이재만·안봉근 전 비서관 등 피의자들은 돈이 오고 간 점은 인정하면서도, 오늘(2일) 열린 구속영장 실질심사에서 이 돈이 일종의 통치자금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공적으로 쓰일 돈을 마련하기 위해 기관들이 협조했을 뿐이라는 논리입니다.

또 특수활동비는 사용 목적을 포괄적으로 규정하는 만큼 대통령의 필요에 따른 사용도 이에 부합하는 것으로 보고 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청와대의 업무 범위를 넘어서거나 불법적, 또는 개인적 용도로 이 돈이 사용된 점이 드러난다면 뇌물죄 적용을 피하기 어렵다는 게 법조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따라서 앞으로 검찰이 돈의 용처에서 불법적인 요소를 얼마나 찾아내는지가 수사의 관건이라는 전망입니다.

설사 청와대가 이 돈 모두를 순전히 공무에만 썼다 하더라도, 예산을 정해진 목적과 다르게 사용한 만큼 횡령이나 국가재정법 위반 혐의는 적용할 수 있다고 법조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영상취재 : 홍종수, 영상편집 : 박정삼)  

▶ "朴 지시로 국정원 돈 받았다"…비자금 수사 불붙나
▶ '20년 문고리' 이재만의 '폭탄진술' 속내…고도의 전략?
▶ 정호성도 돈 받았다…"'문고리 3인방'이 공동 관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