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부산] 낙동강, 가을에도 녹조 심각…"모든 보 열어야" 주장도

<앵커>

낙동강 녹조 이야기, 여름 한 철 골치가 아닙니다. 찬바람이 부는 가을로 접어들었지만 지금까지 여전히 심각합니다. 조류경보 경계까지 발령됐습니다. 4대강 이후 악화되면서 두고두고 말썽입니다.

정기형 기자입니다.

<기자>

아침저녁으로 쌀쌀한 가을이 됐지만 낙동강의 녹조는 여전합니다. 강에서는 죽은 남조류가 썩는 악취가 진동합니다.

4대강 사업 뒤 심해지고 있는 녹조는 더이상 여름 한 철의 문제가 아닙니다. 눈으로 봤을 땐 비교적 물이 맑고 녹조는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가을이 된 지금 낙동강 창녕 함안 구간은 조류경보 경계단계가 발령될 만큼 여전히 녹조 문제가 심각합니다.

수온이 19도대로 떨어졌지만 지난 2주 동안의 조사에서 유해 남조류 숫자는 기준인 1만 개를 훌쩍 넘기고 있습니다.

낙동강 수질 악화와 생태계 파괴로 낮은 수온에서도 잘 번성하는 다른 종류의 유해 남조류가 자리잡는 것입니다.

[낙동강유역환경청 관계자 : 강우량이 적었고 맑은 날씨 때문에 저온에서도 서식하는 유해남조류에 해당하는 아파니조메논이 증가하고 있는 상태거든요.]

낙동강을 재자연화하지 않으면 다양한 유해남조류의 번성은 갈수록 막기 힘들어진다는 지적입니다.

[임희자/마창진환경운동연합 정책실장 : 지금 현재 낙동강이 가지고 있는 물 흐름, 체류시간의 증가 이런 부분들을 결국은 무너뜨려야 합니다.]

보에 강이 막혀 있으면 느린 유속이 계속 유지되는 만큼 낙동강 생태계를 살리기 위해서는 모든 보를 열어야 한다는 주장에도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