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큰 사고 겪고도… KTX '무선 방호장치' 여전히 먹통

<앵커>

기차가 서로 부딪칠 것 같은 위급한 상황이 생기게 되면 기관사가 눌러서 다른 열차를 멈추게 할 수 있는 무선 방호장치라는 게 있습니다. 그런데 KTX 중에 절반 이상에는 이 장치가 달려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박수진 기자입니다.

<기자>

4년 전 21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대구역 열차 추돌사고.

KTX가 신호를 착각하고 출발한 무궁화호와 충돌해 선로를 탈선했고 다시 반대편에서 오던 또 다른 KTX가 탈선한 열차를 들이받은 사고였습니다.

국토부는 이 사고 이후 KTX의 무선방호장치 제동 기능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무선방호장치는 선로에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기관사가 버튼을 눌러 최대 반경 4km 내에 있는 후속 열차와 반대편 열차를 강제로 멈추게 하는 장치 대부분의 열차에 장착이 돼 있지만 2004년 프랑스에서 도입한 초기모델 KTX엔 이 장치가 없습니다.

현재 운행 중인 KTX의 65%에 이릅니다.

[현직 기관사 : 처음에는 이제 (열차 무선방호장치가) 다 작동하는 거로 알고 있었는데 나중에 보니까 일부, 고속기관차(KTX) 초기모델은 작동을 안 하고…]

이후 국내에서 개발한 KTX 산천엔 이 기능이 갖춰졌지만, 기존 KTX엔 예산 문제 등을 이유로 설치가 미뤄지고 있습니다.

[박완수/자유한국당 의원 (국회 국토교통위) : (KTX 열차 무선방호장치가) 작동되지 않음을 알고 있으면서도 방치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코레일은 열차 무선방호장치를 제대로 작동시켜서 국민 안전을 완벽히 확보해야 합니다.]

SBS 취재가 시작되자 코레일은 우선 내년 2월까지 KTX 일부 구간에 대해 무선방호장치 기능을 장착하겠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