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명절엔 "취업·결혼 언제 할 거니" 대신 '격려의 말' 건네요

<앵커>

지금 친척들하고 같이 모여서 이 뉴스 보시는 분들 많으시죠. 그럴 때 이 뉴스가 꼭 필요하실 겁니다.

추석에 맘 상하는 이야기, 피해야 될 이야기는 뭔지 이호건 기자가 열린 마이크에서 시민들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기자>

추석날 온 가족이 모인 자리, 듣고 싶지 않은 말은 무엇인지 시민들에게 물었습니다.

[조경숙/울산광역시 : 형님들이 장 보러 가자 이런 말도 별로 안 좋아요. 돈도 없고 그러니까. 물가도 비싸고.]

조금 더 자세히 들어봤습니다. 20대 대학생과 취준생들은 역시 미래에 대한 질문이 부담스럽다고 얘기합니다.

[서효민/서울 마포구 : 너 요즘 뭐 하고 싶니. 관심 있는 게 뭐니. 저도 아직 확신이 안 찬 상태인데 다들 주변에서 너무 열심히 뭔가를 하고 있는 것 같고 그러니까 좀 부담이 돼요.]

[김고은/서울 마포구 : 취업 면접보고 왔어요. 취업 언제 할 거냐고, 요즘 뭐 하고 있느냐고 물을 때가 제일 듣기가 싫어요. (왜 부담되세요?) 아직 준비하고 있는 입장에서 그런 얘기를 들으면 되게 난감해요.]

취업관문을 뚫은 30대 직장인은 어떨까?

[차진우/서울 강서구 : 부모님께서 결혼은 언제 하느냐고 자꾸 얘기를 하셔서 그게 좀 부담이 돼요. 결혼 준비에 대한, 집이나 이런 걱정들이 좀 있다 보니까.]

그런데 결혼을 한 뒤에도 부담스런 질문이 없는 건 아닙니다.

[염진숙/서울 용산구 : 2세 소식은 없니, 뭐 좋은 소식은 없니. 빨리 낳아서 키우고 싶긴 한데 아직 계획이 좀 있어서 (부담스러워요.)]

하지만 이런 질문을 하는 사람들도 무심코 던지는 건 아니라고 합니다.

[김상현/서울 성북구 : 안타까운 정도가 아니라 막 가슴이 타요. (자식이) 혼자 자는 모습을 보면, 누워서 혼자 자는 모습을 보면….]

이번 추석 명절엔 걱정어린 물음 보다는, 따뜻한 격려의 말을 먼저 건네는 건 어떨까요?

[신승근/서울 마포구 : 저 믿어주세요. 걱정 마세요. 공부 열심히 해서 좋은 대학원 갈게요.]

[서효민/서울 마포구 : 엄마 아빠 항상 미안하고 고마워. 잘하고 있다고 생각해 주니까 늘 용기를 갖고 할 수 있는 것 같아.]

[김고은/서울 마포구 : 엄마 아빠 나 취업 빨리 할게, 부담 주지 말아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