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핵 잠수함 도입 합의' 부인했지만…여지 둔 靑

<앵커>

우리나라와 미국이 핵 추진 잠수함을 도입하는 데 사실상 합의했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습니다. 청와대는 이 보도를 부인하며,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 논의하지도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미국과 도입 여부를 혐의할 가능성은 열어뒀습니다.

김흥수 기자입니다.

<기자>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한국의 핵 추진 잠수함 보유에 한미가 원칙적으로 합의했다는 언론 보도는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어떤 형태의 합의도 이뤄진 바가 없다며, 이번 한미 정상회담의 의제도 아니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그러나 "양국이 실무 차원에서 단위를 꾸려 깊이 있는 협의를 해야 하는데, 그것이 시작되지 않았다는 의미"라며, "도입 필요성에는 이견이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언제든 미측과 논의가 급진전될 가능성을 열어둔 겁니다.

우리 해군의 잠수함은 십여척 에 불과하지만, 북한은 70여척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잠수함 탄도미사일 SLBM을 발사할 수 있는 신포급에 이어, 발사관 2~3개를 갖춘 신형 잠수함도 건조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핵추진 잠수함은 몇 달씩 물 밖으로 나오지 않고 북한 잠수함의 움직임을 밀착 추적할 수 있어, 전력 열세를 극복할 대안으로 꼽혀왔습니다.

[문근식/前 핵추진잠수함 사업단장 : 국책사업단이 구성이 되면 5년에서 7년 정도면 이게 가능하지 않을까 이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한미 원자력 협정에 따라 20% 미만 농축 우라늄을 평화적 목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지만 한미가 합의하면 방어적 목적의 군사용, 즉 잠수함 동력원으로도 쓸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